구원의 연결고리가 되라는 부르심을 받고

지난 주 친구가 전해 준 수필 하나를 읽었습니다. 헬렌 켈러의 "사흘 동안 볼 수 있다면(Three days to See)"이라는 제목의 글입니다. 태어난 지 얼마 안 되어, 병으로 눈과 귀가 멀게 된 헬렌 켈러가 20세기에 가장 존경 받는 사람 중 하나로 성장한 이야기는 우리 모두에게 감명을 주는 인간 승리의 이야기입니다.

이 수필은 만약에 우리가 살 수 있는 날이 하루, 한 달, 혹은 1년이 남았다고 생각하고 산다면, 우리의 시간을 어떤 마음으로 보내게 될까 묻는 것으로 시작합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언젠가는 죽을 것을 알지만, 그 마지막 시간이 먼 후일에 있다고 생각하고, 막상 자기가 소유하고 있거나, 누리고 있는 많은 것들의 귀함을 모르고 지낸다는 것입니다. 특히 우리가 가지고 있는 감각기능을 당연시 하여 무심코 보고, 듣고, 말하며 지내기 쉽습니다.

눈이 먼 헬렌 켈러는 무엇보다 볼 수 있게 되는 것이 가장 절실한 소원이었습니다. 그래서 '사흘 동안이라도 볼 수 있게 된다면'이라는 가상체험을 통해 자신의 소원을 투영한 것입니다. 볼 수 있는 시간이 아주 제한되어 있으니 미리 계획을 잘 해야 합니다. 그래서 그는 3일을 오전 오후, 저녁으로 쪼개서 세세한 계획을 세웁니다. 첫 날은 그 동안 자기 인생에서 사랑과 자비를 베푼 사람들을 만나는 것으로 시간을 보낼 것입니다. 그토록 가까이서 자기를 돌보고 사랑했던 사람들, 그러나 기껏해야 그 얼굴을 쓰다듬으며 어떻게 생겼는가를 짐작할 수 있었던 그 사람들을 만나는 것입니다. 둘째 날은 자연을 만나는 것입니다. 자연사 박물관에 가서 현재만 아니라 과거에 살았던 동물도 보고, 숲에 들어가서 온갖 나무들과 풀, 꽃을 볼 것입니다. 마지막 날은 인간의 예술과, 문명, 그리고 사람들이 살아가는 모습을 보도록 계획을 세웁니다.

저는 이 수필을 읽으면서 헬렌 켈러가 자기에게 사랑을 베풀고 돌보았던 사람들 중에서도 제일 보고 싶었던 사람은 누구였을까 궁금해졌습니다. 헬렌의 대답은 분명합니다. 그 것은 자기를 어려서부터 가르친 앤 설리반 선생님입니다. 설리반 선생님은 헬렌을 처음에는 보모로, 좀 커서는 선생으로, 그 다음에는 동반자로 일생을 함께 한 사람입니다. 그 선생님 때문에 언어를 익히게 되었고, 미국 역사에 처음으로 대학을 졸업하는 맹인이 되었습니다. 그리고 물론 세계적인 인물이 되어, 강연과 집필로 많은 사람들에게 희망을 주고 장애인을 인간으로 대우하도록 미국의 정책에 영향을 주었습니다. 앤 설리반이 없었으면 이루어질 수 없었던 일입니다.

그런데 앤 설리반의 이야기를 읽어보면, 이것도 보통 이야기가 아닙니다. 그는 어려서 보스턴에 있는 한 정신병원에 입원했었다고 합니다. 너무 증세가 심해서 의사들도 모두 포기하고 지하실 쇠 우리에 갇히는 신세가 되었습니다. 짐승과 같이 울기도 하고 사람을 물어뜯기도 하고 음식을 내 던지고 해서 치유의 가능성이 전혀 보이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그 병원에 한 늙은 여 간호사가 있어서 앤을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돌보게 되었습니다. 처음에는 옆에 온 간호사를 무시하고, 음식을 거부하며, 전혀 응답이 없다가 끈질긴 사랑 앞에 마음을 열게 됩니다. 결국에 앤은 정상을 회복하고 병원에 남아서 정신병에 걸린 아이들을 치료하는 일을 돕게 된 것입니다. 헬렌 켈러가 그 중 한 사람이 된 것입니다

헬렌 켈러, 앤 설리반, 그리고 이름도 알 수 없는 보스톤 정신병원의 간호사&ellipsis; 이렇게 엮어지는 사슬을 보면서, 나도 누군가를 치료하는 구원의 사슬의 일부가 되는 역할을 받지 않았는가 주위를 살피게 됩니다. 물론 저도 과거 언젠가 문제를 만나고 환난을 당했을 때, 용기와 믿음, 도움을 준 누군가가 있어서 오늘에 이르게 된 것입니다. 이런 구원의 연결고리가 우리를 통해서도 계속되도록 하나님은 부르시는데, 이번에는 우연히 건네진 핼렌 켈러의 글을 사용하신 것 같습니다.

글쓴이: 김웅민 목사, LA복음연합감리교회 CA
올린날: 2012년 11월 29일 연합감리교회 공보부 TN

 
사회적 관심
리챠드 윌키 감독. 사진제공, 총감독회.

감독을 다시 성경으로 돌아가게 한 성소수자 딸

인기 있는 <제자성경공부>의 공동 저자인 윌키 감독은 동성애자인 자신의 딸로 인해서 동성애에 대한 성경을 관점을 살펴보게 되었다.
선교
정희수 감독이 샌디에고 한인연합감리교회에서 열린 한인목회강화협의회 2018년차 회의 개회예배에서 설교하고 있다. Photo by Thomas Kim, UMNS

가라 하신 깊은 곳

"깊은 곳, 그곳은 두려움을 마다하지 않고 가는 길입니다. 어려움을 마다하지 않고 가는 길입니다. 그동안 알았던 모든 공식이 통하지 않는 변혁적인 도전 앞에서 주님은 깊은 곳으로 가라고 하십니다." 정희수 감독의 한목협 2018년 연차회의 개회예배 설교전문.
사회적 관심
백두산에서 남과 북의 정상이 두손을 잡았다. KBS 화면 캡쳐

우리 시대에 평화? 한국의 진전을 축하하며

위스콘신 연회의 정희수 감독이 한반도와 세계 평화를 위한 기도를 요청하다. "Peace in Our Time" by Bishop Jung in English and Korean.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5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