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복의 사순절

지난 화요일 저는 약간의 검사와 시술을 받았습니다.  이번에 검사를 받으면서 여러 가지로 느끼는 바가 새로웠습니다. 

하나님이 세상을 창조하시고 “지으신 그 모든 것을 보시니 보시기에 심히 좋았더라”(창 1:31) 말씀하셨다고 성경은 기록하고 있는데, 하나님이 창조하신 그 모습을 우리가 간직할 때, 우리가 제 자리를 지킬 때, 하나님 기뻐하십니다. 

우리는 종종 뭔가를 해보려고, 뭔가 좀 만들어보려고 자신이 뭔가 좀 성장해 보려고 노력합니다. 그 모습이 참으로 장하고 귀할지라도, 하나님께서 진정으로 더 기뻐하시고 좋아하시는 모습은 우리가 하나님께서 창조하신 그 모습을 회복할 때입니다. 

우리의 몸의 각 기관이 하나님이 창조하신 그 모습을 잘 지키고 있을 때, 그리고 각 기관들이 제 자리에 있을 때 보기에 좋습니다. 아름답습니다. 우리가 뭔가가 자라지 않아서 문제가 되기 보다는 대부분의 경우에는 쓸데없는 것들이 자라거나, 불필요한 것들이 생겨서 문제되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마태복음 18:3을 보면,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너희가 돌이켜 어린 아이들과 같이 되지 아니하면 결단코 천국에 들어가지 못하리라”고 예수님 말씀하셨는데, 어린아이들은 몸도 마음도 하나님이 창조하신 모습에 가깝고, 창조하신 모습을 금방 회복합니다. 상처가 나서 치료를 하면 금방 새 살이 돋고 아물고 상처도 금방 사라집니다. 말씀을 들어도 스펀지처럼 쑥쑥 빨아들이고 받아들입니다. 

사람이 나이가 먹을수록 지식이 늘고 지혜가 깊어지는 긍정적인 측면도 많이 있습니다. 하지만, 만일 열심히 자신의 몸을 돌보지 않으면 유연성을 잃고 경직되어서 쉽게 다치고, 회복도 쉽사리 되지 않은 경우를 많이 보게 됩니다. 영적으로도 마찬가지입니다. 지식이 늘고 지혜가 깊어지면 영적으로 성숙해지고 유연하고 겸손하여서 말씀을 잘 받아들이고, 말씀에 순종하기를 좋아해야 하는데, 이상하게 영적인 경직성을 보이는 경우도 적지 않습니다. 마치 이스라엘 백성들처럼 목이 곧아서 뻣뻣해지고, 자신의 의를 나타내는 경우 말입니다. 

사도 바울은 “그러므로 우리가 낙심하지 아니하노니 겉 사람은 후패하나 우리의 속은 날로 새롭도다”라고 고린도후서 4:16에서 말씀합니다. 우리가 비록 육신의 장막은 낡아지고 뻣뻣해지는 것은 어쩔 수 없지만, 속 사람은 새로워져서 하나님께서 창조하신 모습을 회복해 나가라는 의미일 것입니다. 

제가 목회하면서 경험한 바에 따르면, 우리가 뭘 몰라서 문제가 되는 경우보다는 하나님이 주신 것 이상으로 가지려고 하고, 이루려고 하고, 뽐내려고 하고, 주장하려고 할 때 우리에게 문제가 생기더라고요.  

사순절이 시작된 지 벌써 네 째 주간입니다.  앞으로 남은 3주 동안, 저나 여러분이나 우리 자신의 속을 한번 들여다 보면 어떨까요? 하나님이 창조하지 않은 것, 제거해야 할 것이 무엇인지, 혹 맘 속에 잡초가 무성하지는 않은지, 제할 것 제하고 자를 것 뽑아내야 할 것이 무엇인지를 살펴보고, 자르고 뽑아내는 작업을 하면 어떨까요?

글쓴이: 김응선 목사, 중앙연합감리교회, IL
올린날: 2015년 3월19일, 연합감리교회 공보부, TN

신학
녹색은 주현절 후 강단에 사용되는 색이다. 이 시기에 우리가 읽는 성경 구절들은 예수 그리스도의 제자 삼아 이 세상을 변화시키는 교회의 선교적 사명을 뒷받침한다. 사진, 수샌 닐스, 플리커, 크리에이티브 커먼스.

주현절 후 교회는 사역의 목표를 어디에 둬야 하나요?

주현절 후 교회는 교인들 가운데 아직 세례를 받지 못한 사람들과 동행하며 예수를 구주로 고백하고 세례받을 준비를 하도록 돕는 데 중점을 둡니다.
신학
동방박사의 경배 모습이 담긴 태피스트리. 영국 맨체스터 메트로폴리탄 대학이 소유한 이 태피스트리는 1894년에 제작되었다. 사진, 위크피디아 커먼스.

연합감리교인에게 주현절이란?

주현절은 성탄절보다 더 오래된 기독교인의 기념일로, 예수의 탄생, 예수 그리스도로 오신 하나님의 성육신 그리고 그리스도의 세례에 초점을 둡니다.
신학
동방 박사가 별을 따라가고 있는 모습을 그린 6세기의 모자이크. 이탈리아 라벤나 근처 산탄폴레나레 성당. 사진, 니나-노, 출처, 위키피디아 커먼스.

2000년 전 베들레헴에 나타났던 별은 무엇이었을까?

2000년 전 베들레헴 하늘에 나타났던 별은 무엇이었을까? 일부 천문학자들은 그것이 행성의 겹침이나 신성 또는 어떤 별자리의 움직임일 것으로 추측하며, 천문학자인 닉 스트로벨은 크리스마스를 신앙의 관점에서 해석하고 있습니다.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5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