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현절 후 교회는 사역의 목표를 어디에 둬야 하나요?

주현절인 1월 6일 이후 교회는 교인들 가운데 아직 세례를 받지 못한 사람들과 동행하며 예수를 구주로 고백하고 세례받을 준비를 하도록 돕는 데 중점을 둡니다.

주현절은 보통 4주-9주간에 걸쳐 기념합니다. 주현절 기간이 일정하지 않은 것은 부활절은 유월절 계산법을 따라, 춘분(春分) 다음에 오는 첫 음력 15일(보름)이 지난 첫 주일이 부활절이기 때문입니다. 첫 음력 보름이 주일이면, 그다음 주일이 부활절이 됩니다. 그 부활절로부터 주일을 제외하고, 40일을 거슬러 올라가면 수요일인데 그날이 사순절의 시작인 재의 수요일입니다.

두루알리미 광고 박스 이미지 연합감리교뉴스에서 제공하는 주간 e-뉴스레터인 <두루알리미>를 받아보시려면, 지금 신청하세요.

2025년 주현절은 1월 6일(월)이고, 주현절 후 첫 주일인 1월 12일은 주님의세례주일로 그리스도의 세례에 초점을 맞춥니다. 2025년의 주현절 마지막 주일인 3월 2일은 산상변모주일(Transfiguration of the Lord)로 지키며, 주현절은 성회수요일인 2025년 3월 5일 하루 전인 3월 4일에 끝납니다.

이 절기의 ‘시작과 끝’은 세례로 시작된 예수님의 공생애로부터 산상변화를 통해 엿볼 수 있는 예수님 사역의 완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주현절 후 절기가 예수님 사역의 여정을 틀로 짠 것처럼, 예수님의 제자들과 지금을 사는 우리들의 삶의 여정의 틀도 구성합니다.

성서일과에서 성경 읽기는 이 절기에 대한 두 가지 방향을 제시합니다.

첫 번째는 구약과 복음서에 쓰인, 제자들과 함께 예수님의 사역 초기 시절을 따라 부르심으로부터 예수님의 길을 산다는 것이 무엇인지 배우며, 예수님을 따르는 시기입니다. 이때 우리가 읽게 되는 성경 구절들은 교회가 믿지 않는 사람들에게 “와서 보라. (Come and see.)”(요 1:39)라고 초청하는 외적인 모습에 초점을 두도록 돕습니다. 여러분의 누군가를 초청하고, 누군가가 그 초청에 응답하여, ‘와서 머무르기(Come and stay)’로 선택하고, 세례 준비하기를 소망합니다.

두 번째는 고린도 교회에 보낸 사도 바울의 편지(고전3-4 참조)에 나타난 것처럼, 교회가 자신의 내적인 모습에 초점을 두도록 돕습니다. 이 절기에 따른 성경 읽기는 교인들이 신앙생활 중 겪는 영적이고 내적인 문제를 다루는 데 도움을 주고, 보다 효과적으로 (자신뿐만 아니라 타인의 경우일지라도) 세례를 준비하며 신앙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이 시기에 우리가 읽는 성경 구절들은 예수 그리스도의 제자 삼아 이 세상을 변화시키는 교회의 선교적 사명을 뒷받침합니다.

원문 보기

이 기사는 연합감리교 공보부의 사역인 Ask the UMC에서 작성한 글을 김응선 목사가 편집한 것입니다. 연합감리교뉴스에 연락 또는 문의를 원하시면, 김응선 목사에게 이메일 [email protected] 또는 전화 615-742-5109로 연락하시기 바랍니다. 연합감리교뉴스를 받아보기를 원하시면, 무료 주간 전자신문 두루알리미를 신청해 주세요.                         







사회적 관심
2023년 8월 28일부터 이틀간 열린 제4차 KMC-UMC-WMC 한반도 평화를 위한 라운트테이블에 참석한 사람들의 모습. 사진, 김응선 목사, 연합감리교뉴스.

예수님의 눈물: 한인 디아스포라의 메시아적 희망과 해방 3

정희수 감독은 예수의 눈물이 한인 디아스포라에게 친숙한 신학적 담론을 형성하여, 고통과 분열 속에서도 신앙을 통해 새로운 자아와 정체성을 찾으며, 트라우마와 눈물 속에서 하나님의 나라를 위한 희망과 화합의 세계를 꿈꾸며 살아왔다고 말한다. 이 글은 정 감독의 글 3편 중 3편이다.
신학
클라우디아 텔리 운게산이 코트디부아르의 맨에 소재한 템플 엠마누엘 연합감리교회 예배에서 찬양을 부르고 있다. 사진, 마이크 두보스, 연합감리교뉴스.

부활절은 언제까지이고, 그다음은 무슨 절기인가요?

부활절 절기는 부활절 주일 전날인 토요일 일몰에 시작하여, 성령의 오심과 교회의 탄생을 축하하는 오순절이 시작하는 50일 간으로, 그리스도인들이 신앙 안에서 성장하도록 돕는 시기입니다.
사회적 관심
재외동포분포현황, 사진 출처, 기독일보.

예수님의 눈물: 한인 디아스포라의 메시아적 희망과 해방 2

한인 디아스포라는 단순한 이민자가 아니라, 역사적 고통과 신앙, 민족 정체성, 그리고 탈식민지화에 대한 열망 속에서 살아온 사람들로, 그들의 삶에는 해외에서의 정체성과 공동체 형성, 조국에 대한 사랑과 이념의 상처가 복합적으로 담겨 있다. 이 글은 정 감독의 글 3편 중 2편이다.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5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