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활절은 언제까지이고, 그다음은 무슨 절기인가요?

기독교인들에게 부활절은 하루가 아닙니다.

부활절 절기는 부활절 주일 전날일 토요일 일몰에 시작하여, 성령의 오심과 교회의 탄생을 축하하는 오순절이 시작하기까지 50일 간의 절기로, 유대교의 유월절부터 오순절(오십이라는 뜻)까지의 50일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창세기 1장을 보면, 유대인들은 하루의 시작을 아침이 아닌 해지는 저녁으로 이해했습니다. ‘하나님이 빛을 낮이라 부르시고 어둠을 밤이라 부르시니라 저녁이 되고 아침이 되니 이는 첫째 날이니라.’(창 1:5) 따라서 창세기에 나오는 하루의 시작인 저녁과 부활절을 종합해볼 때, 부활절의 시작은 토요일 저녁인 것입니다.

우리가 부활절 절기를 지키는 것은 단순히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을 축하하는 기간을 연장하거나 구약의 절기를 따르는 것 이상의 의미를 갖습니다.

두루알리미 광고 박스 이미지 연합감리교뉴스에서 제공하는 주간 e-뉴스레터인 <두루알리미>를 받아보시려면, 지금 신청하세요.

초대 교회에서 사순절은 기독교인이 되고자 하는 사람들이 예수의 가르침을 배우고, 부활절에 있을 세례를 준비하는 기간이었으며, 부활절 절기의 본래 목적은 세례를 받고 새롭게 된 그리스도인들이 계속해서 신앙 안에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것입니다.

이처럼, 부활절 기간은 그리스도의 부활과 교회인 우리가 부활하신 주님의 몸이라는 사실을 기뻐하고, 우리의 삶 속에서 그것을 체험할 수 있는 시간을 허락해 줍니다. 또한 기독교 핵심 교리와 신앙의 신비에 집중하면서, 성령께서 우리에게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감당하게 하신 사역을 준비하는 기간이기도 합니다.

많은 교회가 부활절 기간에 성례전인 세례와 성만찬에 대해 가르치기도 하고, 교인들의 영적 은사나 소명을 분별하도록 돕기도 하며, 다가오는 오순절 예배에서 교인들을 각자의 은사에 맞는 사역 분야로 파송하기 위한 준비를 하기도 합니다.

성령강림절(오순절) 이후의 절기는 삼위일체주일에 시작하여, 왕국주일(Christ the King Sunday)에 끝납니다. 이 시기는 우리가 예수의 이름과 성령의 능력으로 받은 은사를 통해, 주어진 사역을 감당하고 교회의 사역을 돕는 것입니다.

각 사역의 환경이 매우 다양할 수 있기에, 이 절기의 구약과 서신서로 구성된 성서일과표(lectionary) 본문들은 더 많은 유연성을 두고 있습니다. 목회자와 예배 준비 담당자들은 세 가지 본문의 흐름(구약, 서신서, 복음서) 중 각 교회의 사역 환경에 가장 적합한 것을 택해, 연속 설교를 구상할 수 있으며, 이 세 본문은 서로 직접적인 연관은 없습니다.

이 기사는 연합감리교뉴스의 Ask the UMC에 작성된 글입니다. 연합감리교뉴스에 연락 또는 문의를 원하시면, 김응선 목사에게  [email protected]이메일 또는 전화 615-742-5109연락하시기 바랍니다. 연합감리교뉴스를 읽기 원하시면, 주간 전자신문 두루알리미를 신청하세요.   

신학
녹색은 주현절 후 강단에 사용되는 색이다. 이 시기에 우리가 읽는 성경 구절들은 예수 그리스도의 제자 삼아 이 세상을 변화시키는 교회의 선교적 사명을 뒷받침한다. 사진, 수샌 닐스, 플리커, 크리에이티브 커먼스.

주현절 후 교회는 사역의 목표를 어디에 둬야 하나요?

주현절 후 교회는 교인들 가운데 아직 세례를 받지 못한 사람들과 동행하며 예수를 구주로 고백하고 세례받을 준비를 하도록 돕는 데 중점을 둡니다.
교회 성장
미국에 이민 온 최초의 한국 이민자들은 인천 내리감리교회의 교인들이 주축을 이룬 102명이었다. 한인감리교회의 역사가 담긴 사진 콜라주. (왼쪽부터 시계방향으로) 호놀룰루 한인감리교회, 한인감리교 선교회, SS 갤릭호. 사진, 하와이 그리스도 연합감리교회 제공, 그래픽, 케이틀린 베리, 연합감리교뉴스.

1월 13일은 미주한인의날(Korean-American Day)

1월 13일은 미주한인의날(Korean-American Day)로 미주 지역 내 한인 이민자들의 개척적인 삶과 미국 사회에 기여한 공헌을 기리기 위해, 한인 이민 100주년인 2003년 미국 정부가 제정한 날이다.
사회적 관심
전남 무안공항에서 여객기 착륙 도중 충돌 사고가 난 29일 오후 소방 당국이 여객기 잔해를 살피고 있다. 사진 출처, 뉴시스.

연합감리교인들은 재난과 고통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나요?

2024년 12월 29일, 대한민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사고로 179명이 사망하는 안타까운 일이 있었습니다. 연합감리교인으로서 우리는 이러한 재난과 재해를 어떻게 이해하고 받아들여야 할까요?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5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