촛불

대강절 둘째 주일입니다. 대강절 기간 동안 매 주일 예배를 시작하기전 대강절 촛불을 하나씩 켜고  예배를 시작하게 됩니다. 초는 회개/준비를 상징하는 보라색이나 희망을 나타내는 파란색의 초를 사용하며, 촛불 하나 하나에 평화, 소망, 기쁨, 사랑등의 의미를 부여하기도 합니다. 보라색이나 파란색의 초 가운데 핑크색 초가 하나 끼게 되는데 이는 대강절 셋째 주일의 주제인 기쁨을 나타내기 위한 것입니다. 오늘은 대강절 둘째 주일이지만 설교의 주제가 예수님을 만난 기쁨에 관한 것이기에 한주 앞당겨 분홍색 초를 켜고 예배를 드리게 되겠니다. 지난 주일에 말씀 드렸듯이 대강절 초들 가운데 있는 하얀색 초는 그리스도를 상징하며, 성탄 주일이나 성탄절 예배 때 주님이 이 땅에 오심을 기억하여 켜게 됩니다.

대강절 기간 동안 이렇게 대강절 초를 켜고 예배를 드리는 것은 예수님께서 이 땅에 빛으로 오셨다는 것을 기억하기 위함 입니다. 사실 매 주일 예배를 드릴 때 본당 앞에 있는 초를 켜고 예배를 드리는 이유 또한 이 땅에 빛으로 오신 예수님을 기억하기 위함 입니다. 이때 초를 두개 켜는 것은 인간이며 하나님이신 예수님을 나타내기 위해서 이며, 또한 예배가 끝날 때 전통적으로 예배실에 있는 초를 끄기 전에 촛불을 켜고 끄는데 사용하는 캔들라이터에 불을 옮겨서 마지막 찬송을 부르며 예배실 밖으로 가지고 나옴으로 우리와 함께 세상으로 나가시는 예수님을 상징적으로 나타내게 됩니다. (우리 교회에서는 이 부분을 생략하고 있습니다.)

요즈음 한국에서는 촛불 집회가 매 주말 열리고 있습니다. 박근혜 대통령의 비선실세가 언론을 통해서 알려지면서 분노한 국민들이 촛불을 들고 박근혜 대통령의 하야/탄핵을 요구하며 모이기 시작한 것이 벌써 6주째 계속되고 있습니다. 박근혜 대통령이 특별 담화를 발표하며 국민의 이해를 구하려 했지만, 그럴 때마다 그의 진정 없는 불통 스타일의 담화로 상황이 오히려 더 악화되는 가운데 촛불을 든 국민의 숫자는 계속 늘어가 이번 주말에는 주최측 추산 232만명이 전국에서 촛불을 들었다고 합니다. 요한복음에서는 빛으로 오신 예수님을 세상 사람들이 받아 들이지 않았다고 했는데, 미련한 한 지도자의 교만은 232만개의 촛불도 보지 못하는 것 같아 안타깝기만 합니다.  

지난주부터 젊은 교인들이 많은 시카고 교외의 한 교회에서 “작은 촛불 기도회”를 시작했다는 소식을 들었습니다.  어지러운 정국에 조국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믿는 이들이 할 수 있는 유일한 일, 그리고 가장 중요한 일을 감당하고자 작은 촛불을 켜고 하나님께서 조국에 덥힌 어둠을 내 쫓아 주시기를 간절히 기도하는 모임을 시작했다고 합니다. 이 소식을 들으며 이럴 때일수록 빛으로 오신 예수님을 생각하면서 더욱 소중하게 소망과 평화의 촛불을 켜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 보게 됩니다.

계시록에 보니 교회를 촛대로 비유하면서 빛을 잃은 교회의 촛대는 옮겨 버리시겠다는 경고를 주시는 (계 2:5) 것을 보게 됩니다. 촛불이 꺼져 버린 교회 … 예수 그리스도의 촛불이 사라지고, 세상을 비추는 소명의 촛불이 사라지고, 죽음을 이기는 소망의 촛불이 사라진 교회는 더 이상 교회로서 존재할 이유가 없다는 말씀으로 받아 들여 집니다. 촛불을 켜고 예배를 드리는 대강절!  우리 가운데 평화와 소망, 기쁨과 사랑, 그리고 무엇보다도 예수 그리스도의 촛불이 꺼지지 않고 타올라 어둠 속의 세상을 따듯하게 비출 수 있기를 간절히 바랍니다. 그리고 우리가 켜 놓은 기도와 사랑, 그리고 희생의 촛불을 통해 윤동주 시인의 “초 한대”라는 시에 나오듯 “어둠이 창구멍으로 도망”가는 역사가 있게 되리라 믿습니다.  아멘!

글쓴이: 김태준 목사, 살렘한인연합감리교회, IL
올린날: 2016년 12월 6일, 연합감리교회 공보부, TN

이민
연합감리교인들과 타 기독교와 유대인 단체들이 트럼프 행정부의 국토안보부를 상대로, 이민세관단속국(ICE)의 영장 없는 교회 기습 수색을 철회하라는 소송을 제기했다. 이들은 영장 없는 교회 수색이 예배와 사역의 자유를 침해한다고 주장한다. 이미지, 세르게이 토크마코프, 픽사베이.

연합감리교인들 트럼프 행정부에 소송을 제기하다

연합감리교회와 20여 기독교와 유대인 단체들은 이민세관단속국 요원들의 영장 없는 교회 급습 수색을 허용한 트럼프 정책을 철회하라는 연방 소송을 제기했다.
신학
이탈리아 라벤나의 네오니아 세례당. 사진, 피타 밀로저빅(Petar Milošević). 출처 위키미디어커몬스.

주님의세례주일(Baptism of the Lord)이란?

주님의세례주일은 2000년 전 예수님의 삶과 사역을 기억하고 기념하는 것 이상입니다. 이날은 그리스도를 알지 못하는 이들을 초대하고, 그리스도와 함께하는 삶의 의미를 나누는 날입니다.
신학
동방박사의 경배 모습이 담긴 태피스트리. 영국 맨체스터 메트로폴리탄 대학이 소유한 이 태피스트리는 1894년에 제작되었다. 사진, 위크피디아 커먼스.

연합감리교인에게 주현절이란?

주현절은 성탄절보다 더 오래된 기독교인의 기념일로, 예수의 탄생, 예수 그리스도로 오신 하나님의 성육신 그리고 그리스도의 세례에 초점을 둡니다.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5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