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무엇을 하고 있습니까?”

소득이 많아지면서 생활 수준은 날로 높아지고 있으나, 여전히 세상의 많은 사람들이 염려와 근심 중에 살아가고 있습니다. 세상에는 그들이 소유한 물질로 해결할 수 없는 일들이 많이 있기 때문입니다. 그들의 푸념이 찬송 486장 앞 소절에 이렇게 쓰여 있습니다. “이 세상에 근심된 일이 많고 참 평안을 몰랐구나!” 그러나 주 예수의 구원의 은혜 안에 사는 우리에겐 소망이 있습니다. 기쁨이 있습니다. 그래서 구원의 확신을 가지고 사는 성도는 이렇게 노래합니다. “내 주 예수 날 오라 부르시니 곧 평안히 쉬리로다. 주 예수의 구원의 은혜로다 참 기쁘고 즐겁구나.”

'천로역정'을 쓴 존 번연이 중생을 경험하게 된 일화입니다. 번연은 어느 날 우연히 할머니 몇 사람이 양지에서 햇볕을 쬐며 이야기하는 것을 듣게 되었습니다. 할머니들은 기쁨이 가득 찬 얼굴로 하나님으로부터 받은 은혜에 대해 서로 나누고 있었습니다. 존 번연은 그 순간 이상하게 가슴이 뜨거워졌습니다. 그는 자리에 엎드려 기도를 올렸고 그때 새 사람이 되는 확실한 경험을 하였다고 합니다. 이름도 없는 할머니들이 누리고 있던 그 기쁨이 한 시대를 풍미한 위대한 문학가를 만들어 낸 것입니다.

세인트루이스를 지나던 한 변호사가 주일 아침, 교회를 찾다가 한 경찰의 추천을 받고 한 교회로 갔습니다. 그런데 그가 소개한 교회를 찾아가는 도중에 보니, 몇 개의 교회를 지나치게 되었습니다. 해서 예배를 마치고 돌아가는 길에 그 경찰에게 “왜 굳이 그 교회를 소개했느냐”고 물었습니다. “이 지역에 어느 교회가 좋은 교회인지 제가 직접 가보지 못해서 잘 알지 못합니다. 그러나 주일 아침마다 교통정리를 하면서 보니 그 교회에 다니는 교인들의 얼굴 표정이 가장 밝고 기뻐 보였습니다. 그래서 그 교회를 소개한 것입니다.”

이렇게 세상 사람들의 눈에도 은혜를 받은 얼굴과 은혜를 받지 못한 얼굴이 구별됩니다. 설령 힘겨운 문제가 있을지라도 은혜를 받은 백성에게는 영혼에서부터 우러나오는 기쁨이 있습니다. "내 속에 생각이 많을 때에 주의 위안이 내 영혼을 즐겁게 하시나이다" (시 94:19). 하나님이 당신의 말씀에 따라 사는 자를 위해 싸우시며 그 영혼을 즐겁게 하신다는 고백입니다.

나는 거의 길치입니다. 늘 다니던 길이 아니면 운전하면서 불안해서 가끔 헛길로 들어섭니다. 이런 나에게 네비게이션은 구세주 같은 발명품입니다. 네비게이션을 처음 사용했을 때 그 감동은 말할 수 없었습니다. 초행길도 그저 네비게이션의 안내를 따르다 보면 정확히 목적지에 가닿게 되니 참 신기했습니다. 다른 길로 진입해도 걱정할 일이 없습니다. 기계가 ‘리칼큐레이트’ 해서 바른길로 인도하니 말입니다. 하나님의 말씀은 우리의 삶의 가이드요 영적인 네비게이션입니다. 그 말씀의 지도를 받는 한, 우리의 심령에는 세상이 빼앗을 수 없는 ‘기쁨’으로 충만하게 될 것입니다.

개체교회
레오폴드는 "대지의 모든 구성원은 그 자체로 가치가 있다."라는 철학적 입장을 통해 자연 보존의 윤리적 기준을 제시하였다. 그래픽 출처, 수재모 “레오폴드의 대지윤리” 통합적 접근 네이버 블로그.

생태계 보전(保全)을 위하여

오정선 목사는 서구의 정신과 동아시아 유교의 윤리적이고 영적 차원을 상호 존중하는, 그리고 상호 보완을 하는 대화를 통해 생태계 보전(保全)과 생태계 위기를 지구공동체가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대안적 모델을 찾아야 한다고 말한다.
개체교회
2020년, 테네시주 애쉬랜드시 근처의 한 농장 밭에 봄꽃이 만개해 있다. 연합감리교회 기관들은 지구의 날에 발표된 2050년까지 온실가스 순배출 제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꾸준히 노력하고 있다. 사진, 마이크 두보스, 연합감리교뉴스

기독교와 유교, 그리고 생태계

오정선 목사는 땅을 정복하라는 성서 구절을 하나님의 모든 피조물을 돌보라는(care) 의미로 해석하고, 인간을 하나님의 피조물을 관리하는 청지기(steward)로 이해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사회적 관심
전남 무안공항에서 여객기 착륙 도중 충돌 사고가 난 29일 오후 소방 당국이 여객기 잔해를 살피고 있다. 사진 출처, 뉴시스.

연합감리교인들은 재난과 고통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나요?

2024년 12월 29일, 대한민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사고로 179명이 사망하는 안타까운 일이 있었습니다. 연합감리교인으로서 우리는 이러한 재난과 재해를 어떻게 이해하고 받아들여야 할까요?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5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