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의 수요일(Ash Wednesday)

이번 주 수요일은 교회 절기상으로 사순절이 시작되는 첫 날입니다. 이 사순절의 첫 날을 우리는 재의 수요일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 재의 수요일로부터 기독교의 사순절이 시작되는 것입니다. 그런데 이 재의 수요일에 반드시 하는 의식행사가 하나 있습니다. 바로 이마에 십자가 모양으로 재를 바르는 것입니다. 그런데 여러분께서는 왜 이마에 재를 바르는지를 아십니까?

성경에서는 “재를 덮는 행위”를 회개의 행위로 간주합니다. 예를 들면, 욥이 하나님께 두 번째 응답하는 부분인 욥기서 42장 6절에 보면, 욥은 ”티끌과 잿더미 가운데서 회개”한다고 고백합니다. 다니엘서 9장은 포로 이후 공동체의 회개기도로 다니엘의 기도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다니엘서 9장에서 다니엘은 “금식하며, 베옷을 입고, 재를 무릅쓰고 하나님께 기도하였다”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구약성경에서 우리는 “재를 쓴다는 것”이 바로 자신의 잘못을 회개한다는 의미로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이와 마찬가지로, 재의 수요일에 우리가 이마에 재를 바르는 행위 역시도, 지난 날 우리의 죄와 허물을 우리 스스로가 재를 뒤집어쓰듯이 회개한다는 의미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또한 구약에서의 재란 “회개를 상징하는 것뿐 아니라, 인간은 하나님 없이는 살 수 없는 존재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왜냐하면 우리가 재의 수요일 재를 이마에 바르는 의식을 행할 때, 창세기 3장 19절의 말씀을 일러줍니다. 하나님이 창조하신 인간인 아담이 죄를 범한 후, 하나님께서 그에게 하신 말씀입니다. “너는 흙이니 흙으로 돌아가리라.” 인간은 신이 아니라 창조된 존재라는 것을 다시 한 번 말씀하시는 것입니다. 또한 인간은 스스로 구원할 수 없으며, 인간에게 닥쳐질 사망의 문제, 즉 죽음을 피할 수 없는 존재라는 것을 말씀하신 것입니다.

창조자 하나님이 창조하신 인간의 대표인 아담에게 인간은 “흙으로 돌아가는 유한한 존재”라는 것을 상기시키고 있는 것입니다. 고대 바벨론 신화 중 하나인 길가메쉬 서사시에는 길가메쉬라는 주인공이 ”유한한 인간이 영원한 신의 세계에 참여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을 영원한 생명을 얻은 유트네피스팀에게 던집니다. 그리고 유트네피스팀은 인간이 스스로 영원한 생명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을 길가메쉬에게 알려줍니다. 그러나 성경은 고대 바벨론이 가졌던 세계관과 다른 관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성경은 분명히 우리에게 말씀합니다. 한 번 죽는 것은 정해진 사실이고, 그 후에는 반드시 심판이 있다(히 9:27)고 말입니다. 인간은 스스로를 구원할 수 없으며 또한 영원한 생명을 가진 존재이지도 않습니다. 우리가 흙으로 창조되었기에 흙으로 돌아갈 수밖에 없는 존재인 것입니다.

바로 재의 수요일이란 이런 우리의 실존을 다시 한 번 생각해 보고, 우리의 삶을 깊이 성찰하는 날입니다. 언젠가는 흙으로 돌아가니 세상이 주는 영예와 물질의 유혹에 매이지 말고, 하나님 없이 살 수 없는 인간의 연약함과 부족함을 고백하는 참으로 의미 있는 날입니다.

개체교회
레오폴드는 "대지의 모든 구성원은 그 자체로 가치가 있다."라는 철학적 입장을 통해 자연 보존의 윤리적 기준을 제시하였다. 그래픽 출처, 수재모 “레오폴드의 대지윤리” 통합적 접근 네이버 블로그.

생태계 보전(保全)을 위하여

오정선 목사는 서구의 정신과 동아시아 유교의 윤리적이고 영적 차원을 상호 존중하는, 그리고 상호 보완을 하는 대화를 통해 생태계 보전(保全)과 생태계 위기를 지구공동체가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대안적 모델을 찾아야 한다고 말한다.
개체교회
2020년, 테네시주 애쉬랜드시 근처의 한 농장 밭에 봄꽃이 만개해 있다. 연합감리교회 기관들은 지구의 날에 발표된 2050년까지 온실가스 순배출 제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꾸준히 노력하고 있다. 사진, 마이크 두보스, 연합감리교뉴스

기독교와 유교, 그리고 생태계

오정선 목사는 땅을 정복하라는 성서 구절을 하나님의 모든 피조물을 돌보라는(care) 의미로 해석하고, 인간을 하나님의 피조물을 관리하는 청지기(steward)로 이해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신학
녹색은 주현절 후 강단에 사용되는 색이다. 이 시기에 우리가 읽는 성경 구절들은 예수 그리스도의 제자 삼아 이 세상을 변화시키는 교회의 선교적 사명을 뒷받침한다. 사진, 수샌 닐스, 플리커, 크리에이티브 커먼스.

주현절 후 교회는 사역의 목표를 어디에 둬야 하나요?

주현절 후 교회는 교인들 가운데 아직 세례를 받지 못한 사람들과 동행하며 예수를 구주로 고백하고 세례받을 준비를 하도록 돕는 데 중점을 둡니다.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5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