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평: 무(無)를 위한 총회 준비

Photo of retired Bishop Michael J. Coyner, courtesy of the Indiana Conference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website. 
은톼 감독 마이클 코이너. 사진 제공 인디아나 연회  

전진위원회가 총회에 제시한 3 개의 플랜에 관한 온갖 논의 속에서, 아무것도 결정하지 못 하는 “무(無)결정”에 대해 준비하는 사람이 있는가 궁금합니다.

과거를 살펴보면, 총회는 연구위원회를 만들고선, (연구위원회의) 권고 사항들을 통과시키지 않는 경우가 일반적입니다. 그 예로 1988-1992년 사이 4년간 동성애 연구위원회와 다양한 사역 연구위원회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일이 반복되었고, 총회는 점점 더 기능이 마비되었기 때문에, 2019년이나 2020년의 결과가 “무(無)”로 결정날 가능성이 높습니다.

우리는 총회가 아무 결정도 안 내릴 경우에 대비하고 있습니까?

아니면, 총회가 무엇인가 내리는 결정에 대한 준비가 되어있습니까?,

총회가 끝난 다음날, 죠지아주나, 텍사스주, 혹은 뉴햄프셔주, 혹은 아프리카 리베리아의 교회 교인들에게 총회의 결정을 이해시키고, 그다음 그들이 해야 하는 일이 무엇인지 설명해줄 수 있는 누군가가 있을까요?

우리가 제안된 플랜 자체에만 너무나 몰두하는 것 같은데, 과연 그 여파를 다룰 준비가 된 사람이 있을까 의문입니다.

여기, 총회가 내릴 가능성이 있는, “무(無) 결정” 혹은 “결정” 에 대한 준비 방안을 제시하려 합니다.

  1. 진심으로 말씀드리는데, 대부분의 교회들은 총회의 결정과 상관없이 지금까지 하던 방식 대로 사역할 것입니다.그러므로 목회자와 회중들을 계속해서 믿음을 지키며 하던 대로 자신들의 교회 사역에 촛점을 맞추도록 독려합시다.총회가 자주 그 기관의 중요성에 스스로 심취되곤 합니다만, 우리 교단의 진짜 사역은 개체교회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그 사역을 계속하도록 독려되어야 합니다.
  2. 대부분의 개체교회 회중 그리고 목사들에게 우리의 선교사명인, “세상을 변화시키는 예수그리스도의 제자를 만드는것”에는 변함없다는 것을 상기시켜줘야 합니다.총회의 온갖 토론과 결정 혹은 “무(無) 결정”이 우리의 주위를 산만하게 해서는 안 됩니다.실제로, 너무나도 많은 혼란이 벌써 일어났습니다. 그러니 우리는 개체 교회 교인들, 목회자들, 그리고 연회들이 우리 교회의 주된“본업”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돕기를 희망합니다.
  3. 거의 모든 목회자가 그들의 파송제도의 확고함과, 교단 차원에서의 변화가 그들에게 즉각적인 영향이 없을 것이라는 것, (변화가 있더라도 즉각적인 영향이 없을 것이라는 것), 그리고 그들의 사역을 계속할 수 있다는 재확증이 필요합니다.
  4. 연합감리교단의 모 든곳에서의 불안감의 수위가 낮춰져야 합니다 – 이것은 지도자들이 평정심을 유지할 수 있을 때에만 가능합니다.이 말의 뜻은 지도자들이 숨지 말고 교인들 앞에 나서서 스트레스나 불안감을 줄여주는 언행을 의미합니다.현재 너무나도 많은 총회 대의원들이나 감독들을 포함한 지도자들이 불안감을 낮추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높이고 있습니다.
  5. 우리는 총회의 결정을 놓고 기도하고 연구하라고 권하고, 우리의 미래에 대한 성숙한 토의를 제안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한 토의가 즉각 실시될 수는 없습니다. 왜냐하면 총회의 결과는 번역하는 시간도 걸리고, 보급하는데 시간이 걸릴 것이기 때문입니다. 초반에 여러 코커스 그룹이나 심지어 미디어를 통해서 나오는 리포트들은 대부분 선동적이거나 전혀 정확하지 못 합니다.그러므로 우리 교인들이 시간을 가지고 기도하고, 연구하고, 총회의 결정(이 있는 경우)의 의미를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우리 교단의 지도자들은 그들 자신이나 타인에 대한 재빠른 결론을 내리려는 경향과 싸워야 할 것 입니다. 오늘날과 같은 소셜미디어의 시대에 인내하기란 쉽지 않습니다. 그러나 인내하기가 총회가 끝난 며칠 후, 몇 주 후 필요할 것입니다.정확하지 못 하거나 온전하지 않은 정보에 의해 내려진 재빠른 결정은 대개 틀린 결정입니다 – 그러므로 우리가 그러한 잘못된 조속한 결정을 피할 수 있도록 우리 모두를 독려합시다.

나는 2019년이나 2020년에 총회가 어떠한 결정을 내릴지 모릅니다.  그러나 나는 확신합니다.  바울 사도가 빌립보 교회에게 말한 것처럼, “너희 속에 착한 일을 시작하신 이가 그리스도 예수의 날까지 이루실 줄을 우리가 확신하노라”.

코이너감독은 인디애나 연회를 12년간 주재하고, 2016년에 은퇴했습니다.

 

개체교회
남동부 지역총회 내 아시아계 미국인 목회자들의 첫 모임이 5월 13일부터 15일까지 와싱톤 한인교회에서 열린다. 사진은 2023년 10월 2일 일리노이주 휠링에 소재한 시카고 한인제일연합감리교에서 열린 특별한인총회 개회 예배 중 참석자들이 찬양하는 모습. (왼쪽부터) 캘리포니아-태평양 연회의 도티 에스코베도-프랭크(Dottie Escobedo-Frank) 감독, 위스콘신 연회의 정희수 감독, 데이나 라일 박사, 백미랑 목사, 이푸르메 목사, 전주연 목사. 사진, 김응선 목사, 연합감리교회뉴스.

남동부 지역총회 내 첫 아시아계 목회자 모임이 열린다

남동부 지역총회 내 첫 아시아계 미국인 목회자 모임이 5월 13일부터 15일까지 버지니아주 맥린의 와싱톤 한인연합감리교회에서 열린다.
개체교회
다락방 영성형성 아카데미가 주최하는 시편을 사랑하는 목회자와 평신도를 대상으로 한 “영혼의 노래, 시편과 함께하는 여정”이라는 주제의 <영성형성 아카데미>가 2025년 9월 22일부터 26일까지 애리조나주 투산에 소재한 리뎀토리스트 수양관에서 열린다. 사진은 <영성형성 아카데미>가 열리는 리뎀토리스 수양관에서 바라본 애리조나 사막의 풍경을 담고 있다. 사진, 김응선 목사, 연합감리교뉴스.

시편과 함께하는 여정: 영혼의 노래

다락방 영성형성 아카데미가 주최하는 시편을 사랑하는 목회자와 평신도를 대상으로 한 “영혼의 노래, 시편과 함께하는 여정”이라는 주제의 <영성형성 아카데미>가 2025년 9월 22일부터 26일까지 애리조나주 투산에 소재한 리뎀토리스트 수양관에서 열린다.
사회적 관심
3월 5일 재의수요일, 레이철 콘웰 목사(중앙, 안경 착용)와 도나 클레이콤 소콜 목사(좌측, 성직자 칼라 착용) 등 워싱턴 D.C. 지역 목사들이 국회의사당 앞에서 기도하며 시위를 벌였다. 이들은 신앙 지도자들에게 불의에 맞서 기도하고, 도덕적 저항에 함께해달라고 촉구했다. 또한 워싱턴 D.C.를 비롯한 여러 지역의 연합감리교회들은 트럼프 행정부의 감원 및 해고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연방공무원과 계약직 직원 등에게 도움의 손길을 전하고 있다. 사진 제공, 레이철 콘웰 목사, 덤바튼 연합감리교회.

연합감리교회, 대규모 연방공무원 해고와 감원에 목소리를 높이다

연합감리교인들은 미국 정부의 급격한 예산 삭감과 해고 또는 감원된 연방공무원들을 지지하기 위해 목회적 돌봄과 기도회, 그리고 시위를 벌이고 있다.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5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