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령 하나님의 중매 ”

시인 정현종이 쓴 ‘방문객’이란 시의 전반부는 이렇게 시작됩니다. “사람이 온다는 건, 실은 어마어마한 일이다. 그는 그의 과거와 현재와 그리고 그의 미래와 함께 오기 때문이다. 한 사람의 일생이 오기 때문이다.” 시인은 이 시에서 사람과 사람의 만남을 이렇게 노래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살아가면서 누구를 만나느냐에 따라 인생이 풀리기도 하고 막히기도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상대가 지고 오는 그의 일생이 ‘짐’이 되면 막히는 것이요, ‘힘’이 되면 풀리는 것입니다. 요즘 고국에선 자살한 성완종 경남기업 회장과의 만남이 큰 짐이 되는 정치인들이 좌불안석입니다. 그들은 성회장이 남긴 유서에 뇌물을 받은 것으로 이름이 올라가 있는 이들입니다. 우리는 이 사건을 통해 단지 인간적인 이해관계 안에서 자의적인 만남이 이루어질 때, 그 만남이 ‘힘’이 되지 않고 ‘짐’이 되는 순간이 온다는 사실을 목격하고 있습니다. 기업인과 정치인의 만남에는 반드시 이권이 개입됩니다. 그 이권이 균형을 이루지 않고 한 쪽으로 치우칠 때, 그들 사이에 균열이 일어납니다. 그 만남의 뿌리가 이해관계로 엮어진 것이기에 이해 당사자 간에 ‘주고받는’ 균형이 깨지면, 그 순간부터 그 만남은 서로에게 ‘힘’이 아니라 ‘짐’이 되기 시작하는 것입니다.

성령 하나님은 사람과 사람을 연결시키십니다. 사람의 마음과 마음을 연결시키십니다. 성령이 연결시켜주는 만남은 서로에게 짐이 되는 법이 없습니다. 힘이 되어 주의 일이 되게 합니다. 이점에서 성령 하나님은 탁월한 중매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성령하나님이 사역하시는 방법은 이런 Networking을 통해서입니다. 성령의 감화 감동을 받은 사람들은 성령 하나님이 주도하는 Networking 안에 엮어지는 것입니다. 사르밧 여인과 엘리야 선지자의 만남, 베드로와 고넬료의 만남, 빌립과 에디오피아 내시의 만남은 성령 하나님께서 연결시켜 주신 대표적인 만남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 만남은 그들 서로에게 ‘짐’이 아닌 ‘힘’이 되는 만남으로, 그들은 그 힘을 가지고 주께서 기뻐하시는 주의 삶을 살 수 있었습니다.

차인홍 교수가 쓴 <휠체어는 나의 날개>라는 자전적 간증서가 있습니다. 이 책에서 차교수는 하반신 불구자로 태어난 자신의 삶에 가장 큰 기회를 주신 분으로 강민자 선생님을 소개합니다. 강민자 선생님은 그가 소년시절 재활원에서 바이올린을 배울 때부터, 미국으로 유학 오는 과정과 오늘에 이르기까지 큰 힘이 되신 분이십니다. 차 교수가 언젠가 강민자 선생님께서 왜 자신에게 그런 기회를 주셨는지 그 이유를 물었습니다. 그 질문에 강 선생님은 이렇게 대답을 했다고 합니다. “차 교수는 그때 참 눈빛이 남다른 아이였어. 수업을 하면서 차 교수를 보고 있으면 이런 생각이 들곤 했지. 저 아이는 정말 나를 기다렸구나.”

다윗은 시편40:1 에서 이렇게 고백합니다. “내가 여호와를 기다리고 기다렸더니 귀를 기울이사 나의 부르짖음을 들으셨도다.”(시40: 1). 강 선생님이 소년 차인홍의 눈빛을 보고 그런 느낌이 든 것은 우연이 아닙니다. 하나님께서 그 선생님에게 소년의 마음을 보게 하셨고 그런 감동을 주신 것입니다. 그 두 분의 만남에 하나님의 섭리가 있었던 것입니다. 하나님은 ‘정말’ 당신을 기다리는 자에게 하나님의 사람을 보내십니다. 그리하여 하나님께서 그의 부르짖음에 귀를 기울였다는 사실을 알게 하십니다. 이런 만남이 성령 하나님이 이어주는 ‘힘’이 되는 만남입니다.

글쓴이: 이철구 목사, 남부플로리다한인연합감리교회, FL
올린날: 2015년 5월 5일, 연합감리교회 공보부, TN

개체교회
레오폴드는 "대지의 모든 구성원은 그 자체로 가치가 있다."라는 철학적 입장을 통해 자연 보존의 윤리적 기준을 제시하였다. 그래픽 출처, 수재모 “레오폴드의 대지윤리” 통합적 접근 네이버 블로그.

생태계 보전(保全)을 위하여

오정선 목사는 서구의 정신과 동아시아 유교의 윤리적이고 영적 차원을 상호 존중하는, 그리고 상호 보완을 하는 대화를 통해 생태계 보전(保全)과 생태계 위기를 지구공동체가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대안적 모델을 찾아야 한다고 말한다.
개체교회
2020년, 테네시주 애쉬랜드시 근처의 한 농장 밭에 봄꽃이 만개해 있다. 연합감리교회 기관들은 지구의 날에 발표된 2050년까지 온실가스 순배출 제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꾸준히 노력하고 있다. 사진, 마이크 두보스, 연합감리교뉴스

기독교와 유교, 그리고 생태계

오정선 목사는 땅을 정복하라는 성서 구절을 하나님의 모든 피조물을 돌보라는(care) 의미로 해석하고, 인간을 하나님의 피조물을 관리하는 청지기(steward)로 이해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신학
성경 이미지, wal_172619, 출처 Pixabay. 그래픽, 로렌스 글래스, 연합감리교뉴스.

동성애에 관한 이성호 목사의 신학 여정, 그리고 하버마스와 코스가드

이성호 목사 대학 동기들이 단톡방에서 동성애에 관한 이 목사의 신학 여정에 대해 위르겐 하버마스와 크리스틴 코스가드의 철학적 입장에 비춰 주고받은 수다를 나눈다.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5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