닭 발과 어머니 날

매년 이맘때가 되면 어머니의 희생과 사랑에 대해 되돌아보고 감사를 표한다. 비록 상업주의나 물질만능주의 때문에 어머니께 진심으로 감사를 표현하는 본래의 모습이 흐려지고, 보석이나 값비싼 선물을 드리는 것만이 이 특별한 날의 전부인 것처럼 광고나 방송 프로그램 등에서 표현하는 것을 보며 안타까운 생각이 든다. 하지만 그 부정적인 이미지 속에서도 어머니의 사랑과 희생에 대한 감사의 표현에 대한 메시지는 잃지 말아야 할 것이다.

‘어머니께 표현하는 감사’ 하면 떠오르는 기억이 있다.

한 시골의 가난한 집에서 아들 셋을 키워내기란 매우 어려운 일이었을 것이다. 한참 자라나는 아이들은 ‘밥 먹고 돌아서면 배가 고프다’고 할 정도로 많이 먹는다. 또한 그 엄청난 식욕을 충족시키기 위해 어머니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최대한의 노력을 기울이셨다. 특별한 날 밥상에 생선이나 고기가 올라오는 날에는 아이들 사이에서 소리 없는 ‘젓가락 전쟁’이 나고. 한바탕 전쟁을 치른 밥상 위에는 앙상한 뼈만이 세 남자 아이들의 왕성한 식욕을 증거하곤 했다.

버스도 잘 다니지 않던 시골이라 소고기나 돼지고기는 구경하기 힘들었지만 가끔 삶은 닭은 식탁에 올라왔다. 닭 삶는 냄새가 나기 시작할 때면 밖에서 놀던 아이들은 집으로 뛰어들어와 부엌 앞에서 피어 오르는 가마솥의 연기를 침을 흘리며 바라보곤 했고, 아직 다 차려지지도 않은 밥상에 미리 둘러 앉아 아버지의 식사기도 끝나기만을 기다리곤 했다.

“먼저, 다리 하나는 할머니께, 그리고 나머지 하나는 아버지 드리고…” 어머니는 잘 삶아진 닭을 나누기 시작한다. 둘째인 나는 항상 어머니가 나누어 주신 닭이 형이나 동생보다 작다며 불평불만을 하였고, 야단을 한번 맞은 후 눈물이 고인 눈으로 허겁지겁 맛있는 닭을 순식간에 먹어 치웠다. 항상 삶은 닭이 식탁에 올라올 때면 닭 발은 어머니 몫이었다. “나는 오독오독한 이 닭 발이 좋아.”자기의 배를 채우기에 여념이 없던 아이들은 어머니의 말을 아무 생각 없이 받아들였다.

시간이 흘러, 형이 첫 월급을 받던 날이었다. 이 세 남자 아이들은 머리를 맞대고 어머니께 의미 있는 선물을 드리려고 계획하였다. 이 우둔했던 아이들은 어머니가 ‘좋아하시는’ 닭 발을 해드리기로 결정하고 시장에 나가 닭 발을 잔뜩 사다가 그날 저녁 밥상에 올렸다. 어머니는 차려진 닭 발들을 보시더니 아무 말없이 눈물을 흘리시는 것이었다. 우리는 처음에 어머니가 감동하셔서 눈물 흘리시는 줄 알고 나름대로 자랑스러워 했지만, 그날 저녁 어머니는 우리를 모아놓고 그 당시 남은 닭 발을 어머니가 드셔야만 했던 경제적으로 어려웠던 상황과 우리들에게 닭 발을 좋아한다고 말해야 했던 이유를 차근차근 설명해 주셨다.

비록 좋은 의도로 준비한 선물이지만, 어머니의 깊은 마음을 이해하지 못한 우리의 우둔함이 다시 한번 어머니의 마음을 아프게 해드린 것 같아 정말 죄송했던 기억이 아직도 생생하다.

이런 어머니의 깊은 사랑의 마음을 생각하며, 우리의 제한되고 우둔한 생각으로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하나님의 마음 또한 생각 해본다.

“어머니 사랑합니다.” “하나님 사랑합니다.”

글쓴이: 이승필 목사, 연합감리교회 공보부, TN
올린날: 2015년 5월 8일

제자화
연합감리교회 고등교육사역부는 오는 2025년 3월 31일까지, 대학, 대학원 및 신학교에 다니는 연합감리교 학생들의 학업을 돕기 위한 2025/2026학년도 장학금 신청서를 접수하고 있다. 사진 출처, 총회고등교육사역부.

고등교육사역부 장학금 신청 접수 시작하다

연합감리교회 고등교육사역부는 대학, 대학원 및 신학교에 재학 중인 연합감리교 학생들의 학업을 지원하기 위해, 2025년 3월 31일까지 새로운 장학금 신청을 받는다.
신학
동방박사의 경배 모습이 담긴 태피스트리. 영국 맨체스터 메트로폴리탄 대학이 소유한 이 태피스트리는 1894년에 제작되었다. 사진, 위크피디아 커먼스.

연합감리교인에게 주현절이란?

주현절은 성탄절보다 더 오래된 기독교인의 기념일로, 예수의 탄생, 예수 그리스도로 오신 하나님의 성육신 그리고 그리스도의 세례에 초점을 둡니다.
신학
사우스캐롤라이나주의 찰스턴에 있는 성 매튜 루터 교회의 “그리스도의 재림”을 주제로 한 스테인드글라스의 일부. 이미지 제공, 위키미디어 커먼즈.

대강절은 아기 예수를 맞이할 준비를 하는 절기인가요?

대강절은 아기 예수의 탄생이 아닌, 그리스도의 재림에 초점을 맞춰야 합니다.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5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