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강절은 아기 예수를 맞이할 준비를 하는 절기인가요?

대강절(Advent)은 아기 예수를 맞이할 준비를 하는 절기인가요?

간단히 대답하면, “그렇지 않습니다.”

교회력에 따르면 대강절은 새로운 한 해를 시작하는 시기(편집자 주: 연중시기?)이지만, 우리 신앙인은 그리스도 안에서 만물이 절정에 이르게 되는 그리스도의 재림에 초점을 맞추는 시기이며, 그리스도를 구주로 영접한 사람들이 세례를 준비하고, 교회는 만물을 새롭게 하실 그리스도의 오심을 예비하는 시기입니다.

매년 대강절 첫 세 번의 주일 성서 본문을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이나 그의 어린 시절에 초점을 맞추지 않는 이유는 바로 그 때문입니다.

두루알리미 광고 박스 이미지 연합감리교뉴스에서 제공하는 주간 e-뉴스레터인 <두루알리미>를 받아보시려면, 지금 신청하세요.

우리는 대강절의 첫 번째 주일에 예수 그리스도께서 만물의 종말에 대해 선포하시는 내용을 듣습니다. 그리고 이후 두 번째와 세 번째 주일에 우리는 대체로 “오실 그 분(one who is to come)이”가 궁극적으로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에 대해 세례 요한의 심상치 않은 증언을 듣습니다. 우리는 대강절 네 번째 주일에 이르러서야 처음으로 그리스도의 탄생과 관련한 암시를 듣게 되지만, 그 내용들도 아기 예수의 탄생이 만물을 근본적으로 새롭게 한다는 사실에 초점을 둡니다.

이처럼 대강절은 아기 예수의 탄생을 준비하기 위한 절기가 아닙니다. 대강절은 크리스마스 시즌에 우리가 무엇에 집중할지를 생각하고, 그것들을 준비하는 시기입니다.

대강절 기간 우리는 현재 진행 중이거나 앞으로 다가올 변화를 대비하고, 만물이 새롭게 됨을 묵상하며, 축하하는 크리스마스 절기를 맞이합니다.

크리스마스 절기에도 우리는 오직 크리스마스이브 하루만 그리스도의 탄생에 초점을 맞춥니다.

크리스마스 절기는 하나님께서 우리를 찾아오시고, 함께하시면서 이 세상에서 우리를 해방시키시고, 앞으로도 그리하시기 위해 성육신하시고(Incarnation), 우리 가운데 계신다(Immanuel)는 놀라운 사실을 축하하고, 감사하는 계절입니다.

이것이 바로 크리스마스 절기에 죄 없는 아이들이 학살당하고, 가족들이 난민이 되는 무시무시한 장면을 전하는 참혹한 이야기와 더불어 목자들에게 기쁜 소식을 전하는 천사들의 이야기와 동방박사들이 아기 예수께 예물을 바치고 경배하는 이야기가 함께 나오는 까닭입니다.

말씀이 육신이 되어(성육신) 우리 사이에 거할 때, 이 세상의 질서는 위협을 느끼고, 흔들리게 됩니다. 왜냐하면, 하나님 나라가 가까워지기 때문입니다.

대강절을 철저히 준비해야 하는 이유는, 오래전에 태어난 아기 예수를 준비하기보다는, 그날 밤 태어나셔서, 지금 여기 이 세상에 우리와 함께 계시고, 만물을 새롭게 하시는 주님을 맞이하기 위함입니다.

원문 보기

스테인드글라스 창문 전체를 보시려면, 이곳을 누르세요.

기사는 연합감리교 공보부의 사역인 Ask the UMC에서 작성한 글입니다연합감리교뉴스에 연락 또는 문의를 원하시면, 김응선 목사에게 이메일 [email protected] 또는 전화 615-742-5109로 연락하시기 바랍니다. 연합감리교뉴스를 받아보기를 원하시면, 무료 주간 전자신문 두루알리미를 신청해 주세요.


사회적 관심
초기 감리교 운동이 태동했던 시기부터 감리교인들은 보다 평화롭고 정의로운 세상을 만들기 위해 사회, 정치적인 문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그래픽, 로렌스 글래스와 김응선 목사, 연합감리교뉴스.

연합감리교회와 정치 3

연합감리교회와 정치의 관계에 관한 시리즈의 마지막 3편으로, 다양한 자료들과 구체적인 실천 방안을 통해 책임감 있는 정치 참여의 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사회적 관심
초기 감리교 운동이 태동했던 시기부터 감리교인들은 보다 평화롭고 정의로운 세상을 만들기 위해 사회, 정치적인 문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그래픽, 로렌스 글래스와 김응선 목사, 연합감리교뉴스.

연합감리교회와 정치 2

미국법에 근거한 교회와 교회를 비롯한 종교 기관과 자선 단체의 선거 및 정치에 참여할 수 있는 구체적인 내용과 한계를 살펴본다.
사회적 관심
초기 감리교 운동이 태동했던 시기부터 감리교인들은 보다 평화롭고 정의로운 세상을 만들기 위해 사회, 정치적인 문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그래픽, 로렌스 글래스와 김응선 목사, 연합감리교뉴스.

연합감리교회와 정치 1

연합감리교회는 크리스천들이 정부의 정책과 활동에 책임 있게 참여해야 할 시민의 의무를 지니며, 이는 우리의 신앙에 기초해야 한다고 믿는다.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5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