빚진 자의 심정으로

계절따라 열심히 살아온 삶을 정리하는 듯 속에 품었던 모든 감정을 다 토해내는 가을의 빛이 참 아름다워 그 빛깔을 온몸에 묻히고 싶은 생각이 들곤 합니다. 가을이 이처럼 아름다운 이유는 겨울이 되면 품고 있던 모든 것을 다 털어내려는 이에게 주시는 하나님의 특별한 은총 때문이란 말도 이해가 갑니다. 그래도 가을이 아름다운 이유는 가을 색채보다는 열매 때문일 겁니다. 눈물로 뿌렸던 것을 기쁨으로 거두는 추수의 계절이기에 수고와 인내와 헌신의 열매들을 손에 들고 감사의 춤을 출 수 있어서 참 행복해지는 때입니다.

올해 처음으로 교회 밭에 각종 채소와 고추를 심어 그 열매로 하나님께 감사를 드리기도 하고 이웃과 나눔을 통해 수확의 즐거움을 함께 나누는 것을 보게 되니 그 기쁨이 더해집니다. 수확이 있든 없든 여기까지 생명을 지켜주시고 건강을 주시고 가정과 일터와 기업을 지켜주신 하나님 은혜에 그저 감사할 뿐입니다. 그러면서도 잊어서는 안 되는 것이 나 혼자 여기까지 온 걸음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누군가 나를 위해 기도해주었고 도와주었고 누군가 곁에서 버팀목이 되어 주었던 이웃이 있다는 것을 알고 그 기쁨을 이웃과 함께하는 것 또한 성숙한 이의 생각일 겁니다. 그러고 보면 성경에서 추수할 때에 가난한 과부와 고아와 나그네를 위해 밭 모퉁이를 남겨 놓는다든지 밭에 떨어진 이삭을 줍지 않고 가난한 이웃을 위해 남겨놓으라고 말씀하신 것은 참 멋진 나눔의 가르침이라 여겨집니다.

TV의 한 영상에서 시장에서 국밥집을 하는 한 아주머니의 이야기가 소개되었습니다. 어려운 살림에 두 자녀를 키우기 위해 시작한 국밥집이 소문이 나서 이제 제법 큰 가게가 되었습니다. 그런데 이 집이 소문난 이유는 저렴한 가격과 함께 가격에 비해 넘치는 음식과 대접 때문이었습니다. 사람들이 이렇게 장사해도 남는게 있습니까 하고 물으면 이 아주머니는 이렇게 대답합니다.

“우리집 찾아오시는 손님들이 우리 아이들 공부시켜준 분들입니다. 손님 때문에 내가 어려울 때 이 자식들 다 대학공부 시킬 수 있었습니다. 손님들은 내게 큰 은덕입니다. 그런 분들에게 좀 더 준다고 해서 아까울 것이 없지요”

국밥 장사를 하면서 나누는 후한 인심은 내가 받은 사랑을 먼저 기억해 내며 나누는 빚진 심정에서 시작한 것입니다. 받을 것이 많다고 여기며 사는 사람은 늘 못 받은 것 때문에 불만이 가득하여 인색해지고 이기적이 되지만 돌려줘야 할 것이 많은 빚진 자의 심정은 늘 감사의 마음으로 나누고 드리게 되고 그렇게 하고도 더 나누고 드리지 못하는 미안함으로 마음을 채워가는 그런 사랑이 묻어있는 마음입니다. 결핍과 부족함이 우리의 감정과 신앙을 지배하지 말고 빚진 자의 심정에서 피어나는 큰 사랑과 풍성한 은혜가 우리의 삶을 채우는 풍성한 감사절기가 되기를 기대해봅니다.

개체교회
레오폴드는 "대지의 모든 구성원은 그 자체로 가치가 있다."라는 철학적 입장을 통해 자연 보존의 윤리적 기준을 제시하였다. 그래픽 출처, 수재모 “레오폴드의 대지윤리” 통합적 접근 네이버 블로그.

생태계 보전(保全)을 위하여

오정선 목사는 서구의 정신과 동아시아 유교의 윤리적이고 영적 차원을 상호 존중하는, 그리고 상호 보완을 하는 대화를 통해 생태계 보전(保全)과 생태계 위기를 지구공동체가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대안적 모델을 찾아야 한다고 말한다.
선교
연합감리교회 한인총회가 140명의 세계선교부 소속 해외선교사를 지원하는 <선교언약> 신청 마감을 2월 28일로 연장했다. 2월 3일 현재까지 30여 교회와 개인이 108명을 후원하기로 <선교언약>에 등록했다. 포스터 제공, 한인총회.

선교언약 신청 접수 마감 2월 28일로 연장

연합감리교회 한인총회가 140명의 세계선교부 소속 해외선교사를 지원하는 <선교언약> 신청 마감을 2월 28일로 연장했다. 2월 3일 현재까지 30여 교회와 개인이 108명을 후원하기로 <선교언약>에 등록했다.
개체교회
2020년, 테네시주 애쉬랜드시 근처의 한 농장 밭에 봄꽃이 만개해 있다. 연합감리교회 기관들은 지구의 날에 발표된 2050년까지 온실가스 순배출 제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꾸준히 노력하고 있다. 사진, 마이크 두보스, 연합감리교뉴스

기독교와 유교, 그리고 생태계

오정선 목사는 땅을 정복하라는 성서 구절을 하나님의 모든 피조물을 돌보라는(care) 의미로 해석하고, 인간을 하나님의 피조물을 관리하는 청지기(steward)로 이해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5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