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절따라 열심히 살아온 삶을 정리하는 듯 속에 품었던 모든 감정을 다 토해내는 가을의 빛이 참 아름다워 그 빛깔을 온몸에 묻히고 싶은 생각이 들곤 합니다. 가을이 이처럼 아름다운 이유는 겨울이 되면 품고 있던 모든 것을 다 털어내려는 이에게 주시는 하나님의 특별한 은총 때문이란 말도 이해가 갑니다. 그래도 가을이 아름다운 이유는 가을 색채보다는 열매 때문일 겁니다. 눈물로 뿌렸던 것을 기쁨으로 거두는 추수의 계절이기에 수고와 인내와 헌신의 열매들을 손에 들고 감사의 춤을 출 수 있어서 참 행복해지는 때입니다.
올해 처음으로 교회 밭에 각종 채소와 고추를 심어 그 열매로 하나님께 감사를 드리기도 하고 이웃과 나눔을 통해 수확의 즐거움을 함께 나누는 것을 보게 되니 그 기쁨이 더해집니다. 수확이 있든 없든 여기까지 생명을 지켜주시고 건강을 주시고 가정과 일터와 기업을 지켜주신 하나님 은혜에 그저 감사할 뿐입니다. 그러면서도 잊어서는 안 되는 것이 나 혼자 여기까지 온 걸음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누군가 나를 위해 기도해주었고 도와주었고 누군가 곁에서 버팀목이 되어 주었던 이웃이 있다는 것을 알고 그 기쁨을 이웃과 함께하는 것 또한 성숙한 이의 생각일 겁니다. 그러고 보면 성경에서 추수할 때에 가난한 과부와 고아와 나그네를 위해 밭 모퉁이를 남겨 놓는다든지 밭에 떨어진 이삭을 줍지 않고 가난한 이웃을 위해 남겨놓으라고 말씀하신 것은 참 멋진 나눔의 가르침이라 여겨집니다.
TV의 한 영상에서 시장에서 국밥집을 하는 한 아주머니의 이야기가 소개되었습니다. 어려운 살림에 두 자녀를 키우기 위해 시작한 국밥집이 소문이 나서 이제 제법 큰 가게가 되었습니다. 그런데 이 집이 소문난 이유는 저렴한 가격과 함께 가격에 비해 넘치는 음식과 대접 때문이었습니다. 사람들이 이렇게 장사해도 남는게 있습니까 하고 물으면 이 아주머니는 이렇게 대답합니다.
“우리집 찾아오시는 손님들이 우리 아이들 공부시켜준 분들입니다. 손님 때문에 내가 어려울 때 이 자식들 다 대학공부 시킬 수 있었습니다. 손님들은 내게 큰 은덕입니다. 그런 분들에게 좀 더 준다고 해서 아까울 것이 없지요”
국밥 장사를 하면서 나누는 후한 인심은 내가 받은 사랑을 먼저 기억해 내며 나누는 빚진 심정에서 시작한 것입니다. 받을 것이 많다고 여기며 사는 사람은 늘 못 받은 것 때문에 불만이 가득하여 인색해지고 이기적이 되지만 돌려줘야 할 것이 많은 빚진 자의 심정은 늘 감사의 마음으로 나누고 드리게 되고 그렇게 하고도 더 나누고 드리지 못하는 미안함으로 마음을 채워가는 그런 사랑이 묻어있는 마음입니다. 결핍과 부족함이 우리의 감정과 신앙을 지배하지 말고 빚진 자의 심정에서 피어나는 큰 사랑과 풍성한 은혜가 우리의 삶을 채우는 풍성한 감사절기가 되기를 기대해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