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평화와 통일을 염원하는 2022년 부활절 공동기도문이 전 세계에 배포되다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The National Council of Churches in Korea, 이하, 교회협)는 오는 4월 17일 부활절을 맞아 “2022년 부활절 남·북 공동기도문(남측 초안)”을 발표하고, 전 세계 기독교인들에게 한반도의 평화를 위한 기도를 요청했다.

교회협은 1996년부터 부활절을 위한 남·북 공동기도문을 조선그리스도교련맹(조그련)과 함께 발표해왔다. 하지만 세계교회협의회(WCC)를 통해 조그련에 전달된 교회협의 공동기도문 초안은 남·북 대화가 중단되고, 남·북과 북·미 관계가 냉각되면서, 2019년 이후 올해 2022년까지 합의를 이끌어내지 못한 반쪽 기도문이 되었다.

2022년 교회협에서 작성한 부활절 공동기도문은 “우리를 불쌍히 여겨주옵소서”, “우리를 용서하여 주옵소서”, “주님의 길을 다시 가르쳐주옵소서”, “우리가 평화의 복음을 굳게 붙들기를 원합니다” 그리고 “주님의 나라의 도래를 구합니다” 등 5개의 주제로 구성되어 있다. 

“역사의 십자가를 지고 골고다 언덕을 오르신 예수님께 베푸신 부활의 은총을 구하며”라고 시작된 기도문은 2018년의 <판문점 선언>과 <평양 선언>의 열기가 사라지고, 약속이 휴지처럼 버려진 한반도의 암울한 현실을 슬퍼하며, 주님의 긍휼을 간구하고 있다.

“민중의 피땀으로 쌓은 평화의 제단이 하나둘 허물어질 때, 우리는 침묵의 그늘에 머물렀습니다. 대화는 결렬되고, 교착 상태는 깊어가고 있습니다. 갈등과 대결의 파도는 높아지고 평화의 꿈은 희미해지고 있습니다.”

기도문은 또한 우리의 몸과 마음 깊은 곳에 담아둔 전쟁의 상처와 분단의 비극으로 인해, 평화를 향한 주님의 부르심을 외면하고, 평화의 문을 활짝 열지 못한 죄를 고백하고 있다.

“전쟁의 상처와 분단의 비극은 38선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 몸과 마음에도 깊이 배어 있습니다. 개성공단이 닫히고, 금강산을 향한 발길은 끊겼으며, 남·북을 잇는 철로 작업도 중단된 지 오래되었습니다. 형제자매를 향한 경제제재와 군사 동맹의 악습이 강화되는 것을 보면서도 분연히 일어나 평화의 문을 활짝 열지 못하는 우리를 용서 하옵소서.”

이어 기도문은 분단을 우리 민족이 풀어야 할 역사적 과제라 전제하고, 하나님의 상상력에 힘입어 평화의 복음을 굳게 붙들고, “분단은 우리 민족이 풀어야 할 역사의 과제입니다. 주님이 주시는 영감과 상상력에 힘입어 남·북의 형제자매가 함께 평화를 위해 일하게 하옵소서. 죽음의 골짜기에서 마른 뼈가 되살아나는 환상을 에스겔에게 주셨듯이, 우리에게도 갈라진 민족의 회복과 한반도의 통일을 향한 부활의 꿈을 부어 주소서. 평화를 이루기까지 있는 힘을 다하라! 라는 주의 말씀을 붙잡고 하나님의 자녀로 거듭나겠습니다.”라는 평화를 위해 일하겠다는 서원을 담았다.

공동기도문은 한반도를 넘어 전 세계가 직면한 어려움을 인류가 하나 되어 해결할 수 있도록 하나님의 긍휼을 빌며 마무리되었다.

두루알리미 광고 박스 이미지 연합감리교뉴스에서 제공하는 주간 e-뉴스레터인 <두루알리미>를 받아보시려면, 지금 신청하세요.

“기후 위기로 신음하는 피조물과 코로나 사태로 고통당하는 인류 그리고 전쟁과 대결로 공멸의 위기 앞에 선 세계 시민 모두가 당신의 나라를 갈망합니다. 주님의 긍휼에 힘입어 인류가 하나 되고 부활의 언덕을 오르도록 은총을 내려 주옵소서.”

세계교회협의회는 조선그리스도교련맹의 답신을 기다렸지만,  4월 8일까지 답이 없자 부활절 예배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국기독교협의회가 작성한 기도문을 전 세계 회원 교회들에 배포했다.

2022년 공동기도문 보기

2022년 부활절 남·북(북·남) 공동기도문 남측 초안 (한글)

2022 Easter Prayer for Peace and Reunific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연합감리교뉴스에 연락 또는 문의를 원하시면 김응선 목사에게 [email protected]로 이메일 또는 전화 615-742-5109로 연락하시기 바랍니다. 연합감리교뉴스를 더 읽기 원하시면, 주간 전자신문 두루알리미를 신청하세요.

개체교회
2020년, 테네시주 애쉬랜드시 근처의 한 농장 밭에 봄꽃이 만개해 있다. 연합감리교회 기관들은 지구의 날에 발표된 2050년까지 온실가스 순배출 제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꾸준히 노력하고 있다. 사진, 마이크 두보스, 연합감리교뉴스

기독교와 유교, 그리고 생태계

오정선 목사는 땅을 정복하라는 성서 구절을 하나님의 모든 피조물을 돌보라는(care) 의미로 해석하고, 인간을 하나님의 피조물을 관리하는 청지기(steward)로 이해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개체교회
갈매기들이 흐린 하늘을 가로질러 날아가고 있다. 사진, 마이크 두보스, 연합감리교뉴스.

연합감리교회의 미래가 궁금하시나요?

2023년 사역에서 은퇴한 김용환 목사는 2024 연합감리교회 한인총회 연차대회에 참석한 후, 자신이 느낀 소감을 보내왔다.
개체교회
고등교육사역부에서는 소수민족/인종사역자훈련기금으로 최대 1만 불까지 지원한다. 신청은 2025년 1월 3일부터 시작되었으며, 접수 마감일은 2025년 3월 31일이다. 한인 교회나 한인 교역자가 사역하는 교회는 모두 지원 대상이 된다. 사진 출처, 총회고등교육사역부.

2025년 소수인종사역자훈련(EIST) 기금 신청 접수가 시작되었다

고등교육사역부에서는 소수민족인종사역자훈련기금으로 최대 1만 달러까지 지원한다. 신청은 2024년 1월 3일부터 시작되었으며, 접수 마감일은 2025년 3월 31일이다. 한인 교회나 한인 교역자가 사역하는 교회도 이 기금을 신청할 수 있다.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5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