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총회: 말라리아 없는 세상 만들기(Imagine No Malaria) 축하잔치

“우리 주님은 하실 수 있다!”

2008년에 시작된 말라리아 없는 세상 만들기 캠페인 성공을 축하하며 연설자들과 찬양자들, 그리고 무용가들은 “Abundant Health: 어린이들과의 약속”이라는 새 캠페인을 통해 2016 총회에 참석한 연합감리교인들과 더 많은 꿈을 나누었다.

말라리아 없는 세상 만들기 의장인 Thomas Bickerton감독은 “보건은 인류를 향한 하나님의 궁극적인 디자인이다”라고 말했다. “보건과 온전함은 존 웨슬리가 18세기 영국에서 말을 타고 여러곳을 다니며 하나님의 사랑과 신앙의 의미를 전파할 때부터 시작되어 감리교인들에게 지속적인 희망이 되어왔다.

“모기에 의한 질병으로 시작된 운동이 이제는 신앙이 이끄는 전세계 보건운동으로 전환되었다. 우리는 모두 말라리아의 퇴치를 상상해왔다. 자, 이제 보건 증진을 상상해봅시다.”

이 12분 간의 축하잔치는 연합감리교회 공보부와 총회세계선교부와의 협력으로 이루어졌다. 이 축하 프로그램에서 모든 연령대의 기부자들이 참여한 대중 캠페인을 담은 영상과 이 캠페인이 아프리카 대륙의 말라리아 퇴치에 얼마나 큰 공헌을 했는가를 보여줬다. 이날 불려진 “할 수 있어요(Able)”라는 노래는 말라리아 없는 세상 만들기에서 위탁한 곡으로, 전세계 연합감리교인들에 좋은 선물이 되었다. “아메리칸 아이돌(American Idol)” 상위 12 번째 입선자인 Jeremy Rosado가 행사에 참가한 1000명이 넘는 사람들을 위해 이 노래를 불렀다. 이 곡은 아마존 뮤직과 말라리아 없는 세상 만들기 웹사이트 그리고 유튜브에서 무료로 다운 받을 수 있다.

미래보건 증진(Abundant Health): 어린이들을 위한 우리의 약속

세계적으로 600만 명의 어린이들이 매년 예방할 수 있는 질병으로 죽어가는 점을 지적하며 이 보고서는 다음 2020 총회까지 백 만명의 아이들을 살리고 보건을 촉진시키는 다음 단계를 소개했다.

미래보건 증진(Abundant Health) 캠페인은 말라리아 없는 세상 만들기의 성공을 발판으로 앞으로 최소한 만 개의 미국 내 교회와 연대하여 신체 활동 촉진, 건강한 식생활과 영양, 담배와 마약이 없는 삶을 위한 교육, 그리고 정신 건강을 위한 프로그램을 계발할 계획이다.

 “우리는 말라리아 없는 세상을 상상해 왔고, 이제는 미래 보건 증진을 상상할 때 입니다”라고 총회세계선교부 Thomas Kemper 총무는 말했다.

총회사역 세계보건프로그램 총무인 Dr. Olusimbo Ige박사는 건강하지 않다는 것은 “꼭 병이 있다는 것이 아니라, 건강해 질 수 있는 가능성이 모두 실현되지 않음을 뜻하기도 합니다. 우리는 세상 전역에 있는 어린이들을 한명 한명 다 보살피길 원하고, 모든 교회와 교인들이 이 일에 동참해 주기를 촉구합니다”라고 말했다.

미래보건 증진(Abundant Health) 캠페인은 총회세계선교부에 의해 진행되며, 2020년까지 백만 명의 어린이들의 생명을 살리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콩고민주공화국, 아이티, 라이베리아, 모잠비크, 나이지리아 등이 집중 지역이 될 것이라고 Ige박사는 말했다. 그녀는 또한 어린이들의 비만 비율이 지난 30년 동안 두 배 이상 증가한 미국도 우려를 나타냈다.

제네바에 소재한 “에이즈, 결핵, 말라리아 퇴치를 위한 세계기금”(Global Fund to Fight AIDS, Tuberculosis and Malaria)의 대외관계 디렉터인Christoph Benn이 이 축하의 자리에 함께하였다. 세계기금과 말라리아 없는 세상 만들기는 말라리아 퇴치를 위해 2010년에 힘을 합쳤다. 오늘날, 연합감리교회는 전세계 종교단체 중 유일무이하게 세계기금의 가장 큰 비정부기증자 중의 하나이다.

연합감리교회 사람들은 말라리아로 인해 매2분마다 어린이가 사망하는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지역에 말라리아 퇴치를 위해 현재 680만불 이상을 모금했다. 말라리아 없는 세상 만들기는 예방, 치료, 정보, 교육을 통해 아프리카에서의 말라리아 퇴치를 위한 750만불 모금을 목표로 하고 있다.

영상으로 사람들은 그들의 이야기를 나누었다. “저의 딸과 아내가 말라리아로 사망했습니다”라고 콩고민주공화국 의 Gabriel Yemba Unda감독은 말했다.

“저는 말라리아로 인해 아버지를 잃었습니다”라고  모잠비크의 Joaquina Filipe Nhanala감독 또한 덧붙였다. “너무 많은 가족들이 말라리아로 인해 고통받았습니다” 라고 연합감리교회 공보부의 말라리아 없는 세상 만들기 담당 책임자인 Gary Henderson목사는 말했다.

Rosado가 “확고히 하라 그리고… 우리가 믿는 것을 보여주라”고 노래부르며 열띤 회중을 이끄는 가운데, 밝은 색 옷을 입은 무용수들은 색색의 테이프를 흔들며 본회의장 사이를 누비며 춤을 추었다.

“당신은 그것을 믿습니까?” 그는 물었다. “우리는 말라리아로 인한 사망률이 반으로 줄어든 것을 보았습니다. 우리는 함께 일함으로써 교회가 강해지는 것을 보았습니다. 우리는 우리가 요청하거나 상상할 수 있는 이상을 가능케하는 주님으로 인해 삶이 전환되는 것을 보았습니다!”

“오늘 주님이 연합감리교인들의 하나됨을 통해 이루신 그 엄청난 일을 축하합니다”라고 Bickerton감독은 말했다. “말라리아 없는 세상 만들기 캠페인은 생명을 살리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많은 열정을 주었습니다. 오늘 우리는 그 성공을 축하하고, 또 이 캠페인을 성공할 수 있도록 함께한 사람들과 함께 기쁨을 나눕니다.”

함께하면 효과적이다

기자회견에서 Benn은 연합감리교회와의 파트너십은 종교기관과의 파트너십의 모델입니다. 우리 교단은 정부 지도자들과 유엔, 그리고 비정부 단체들과 협력하는 부분에서 다른 파트너 단체들에게 잘 알려져 있다. “이상적으로 이 이슈에 대한 초교파적인 네트워크가 이루어지기를 희망합니다,”라고 그는 말했다.

Henderson목사는 말라리아 없는 세상 만들기 캠페인은 전 교회의 협력으로 이루어졌고, “함께하면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보여줬다고 말했다. “우리는 원대한 끔을 꿉니다. 그 꿈은 여러 손이 합할 때 이루어 집니다,”라고 그는 말했다.

미래보건 증진(Abundant Health) 미디어

글쓴이: Crystal Caviness, public relations / Barbara Dunlap-Berg, 연합감리교회 뉴스서비스(UMNS)
올린날: 2016년 5월 19일, 연합감리교회 공보부, TN

재난 구호
한 구조대원이 2023년 2월 6일 발생한 강진으로 튀르키예 가지안테프 지역의 무너진 건물더미에서 구조한 어린 소녀를 안아 옮기고 있다. 사진 제공, 인터내셔널블루크레센트(International Blue Crescent).

3월 30일은 연합감리교구호위원회 특별헌금 주일이다

연합감리교 구호위원회(United Methodist Committee on Relief, UMCOR)는 튀르키예, 시리아, 그리고 우크라이나 등지에서 다양한 사역 파트너들과 함께 난민들이 머물 수 있는 숙소와 따뜻한 식사 등을 공급하며 구호 활동을 벌이고 있다.
폭력
간호사 프랑크 오나멤바가 콩고 부카부에 있는 연합감리교회 이람보 병원에서 깨진 창문을 보여주고 있다. 연합감리교회 소속인 이 병원은 콩코 동부에서 콩고군과 M23 반군 간의 전투 중인 2월 14일부터 16일 사이에 무장한 괴한들에 의해 약탈당했다. 사진, 필립 키투카 롤롱가, 연합감리교뉴스.

동부 콩고의 군사적 충돌로 교회가 약탈당하다

콩고 동부에서 벌어지는 군사적 충돌은 부카부에 있는 연합감리교회 이람보 병원의 약탈을 포함한 연합감리교 가족들과 사역에 큰 피해를 끼쳤다.
선교
2024 연합감리교회 한인총회 연차대회 셋째 날인 2024년 10월 9일, 로스앤젤레스 한인연합감리교회에서 한인총회와 연합감리교 세계선교부가 선교협약식을 맺은 후, 한인총회의 각 기관을 대표해서 (사진 맨 왼쪽부터) 여선교회전국연합회 최만금 장로, 정주디(Judy Chung) 세계선교부 부총무, 세계선교부 총무 롤랜드 퍼난데스와 한인총회 총회장 이창민 목사, 부총회장 권혁인 목사, 와싱톤한인교회 김유진 목사, 그리고 타인종목회자전국연합회 안성천(Sunny Ahn) 목사가 협약식 이후 한자리에 모였다. 사진, 김응선 목사, 연합감리교뉴스.

물방울이 모여 강을 이루듯

한국 선교 140주년을 맞이하는 2025년 연합감리교회 한인총회는 목표했던 모든 세계선교부 140명에 대한 후원 약정을 마무리했다.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5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