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조지아 감독 아틀란타한인교회 감사 결과와 후속 조치 발표

북조지아 연회의 수 호퍼트-존슨 감독은 7월 7일 오후 7시 아틀란타한인교회의 교인총회를 소집하고, 당 교회의 부목사였던 김선필 목사가 제출한 고발장에 대한 조사와 회계 감사 결과 및 그에 따른 후속 조치를 발표했다.

북조지아 연회 수 호퍼트-존슨 감독, 북조지아 연회. 호퍼트-존슨 감독. 출처 북조지아주 연회 홈페이지.

호퍼트-존슨 감독이 소집한 교인총회에는 아틀란타한인교회가 속한 센트럴이스트 지방의 감리사인 로드리고 크루즈 목사와 해당 교회의 재정 감사를 진행한 잭 맥기니스 외 2인의 회계사와 통역을 맡은 사라 박 등이 참석했다.

지난 3월 8일, 북조지아 연회 안수사역부(Board of Ordained Ministry) 집행위원회(Executive Committee)는 미주 최대 한인연합감리교회 중 하나인 아틀란타한인교회의 담임인 김세환 목사와 북조지아 연회의 김효식 목사에게 정직을 내리고, 존 시몬스 목사와 김밀리 목사를 임시 담임으로 파견한 상태에서 아틀란타한인교회의 재정과 회계 업무에 법적인 정밀 감사(Forensic Audits)를 시행해왔다.

그 자리에서 호퍼트-존슨 감독은 김세환 목사의 정직이 연장되었으며, 이 고발 건은 조사위원회(Committee on Investigation)가 담당한다고 발표했다. 호퍼트-존슨 감독은 또한 이번 사건은 조사위원회의 결과에 따라 재판에 회부되거나 협의(Resolution)를 통해 마무리될 수도 있다고 설명했으며, 앞으로 30일 이내에 해당 목회자는 조사위원회에 자신을 소명/해명할 시간을 갖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호퍼트-존슨 감독은 법적 절차가 시작됨에 따라, 김세환 목사의 정직 연장이 불가피하게 되어, 향후 3-4개월 동안 임시 담임 목사가 아틀란타한인교회를 책임지게 될 것이며, 현재 적임자를 찾는 중이라고 밝혔다.

이번 정직 재연장은 지난 3월 8일, 북조지아 연회 안수사역부 집행위원회가 아틀란타한인교회의 법적인 정밀 감사를 실시하기 위해, 김세환 목사와 김효식 목사에게 사례비와 기타 복리후생비용을 삭감하지 않는 조건의 90일 정직을 내린 데 이어, 5월 31일, 다시 법적인 정밀 감사 결과를 확정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한다는 이유로 30일간 정직을 연장한 것에 이어 또다시 취해진 조치다.

호퍼트-존슨 감독은 7월 7일 교인총회가 열리기 전 김세환 목사와 김효식 목사를 만나 이를 설명했다고 교인들에게 전했다.

이날 아틀란타한인교회 교인총회에는 아틀란타한인교회의 재정 회계 감사를 진행했던 잭 맥기니스가 참석하여 아틀란타한인교회의 재정 관리가 교회의 규모와 교인 수에 비해 매우 빈약해서 놀랐다고 말하며, 국세청과 사회보장청 그리고 조지아주의 법과 연합감리교 북조지아주 연회의 지침에 따라 재정을 관리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잭 맥기니스는 문제가 되었던 사항들을 나열하며, 개선 방안의 필요성을 알리고 내용을 설명했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매년 재정 감사를 실시할 것

  2. 재정 관리를 위한 프로그램, 즉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것

  3. 재정을 담당할 전문인을 고용할 것

  4. 재정에 관한 시스템을 정비하고, 권리와 책임을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출 것

  5. 매달 예산과 지출을 감사하고, 예산 지출 집행 권한에 대한 규정을 만들 것

  6. 교회는 세금면제(Tax Exemption) 기관이므로 예산에 관한 권리와 역할이 집중되지 않도록 할 것

  7. 크레딧 카드 사용 절차에 관한 규정이 필요하며, 영수증을 첨부하는 지출 후 비용 청구(Reimbursement) 시스템을 이용할 것

맥기니스는 자신의 회사가 교단을 초월해 100여 교회의 재정을 다루고 있다고 말하며, “교회의 운영과 치리가 문화, 관습, 전례, 정서에 따라 다르다고 하지만, 교단이 다르고 문화가 달라도, 이곳에 사는 한 이곳의 법을 따르지 않으면 심각한 문제가 초래될 수 있다.”라고 개선이 필요한 이유를 설명했다. 그는 또한 자신들이 회계 감사를 하던 중 심각한 사항을 발견해 법적인 정밀 감사를 하게 되었다고 전했다.

두루알리미 광고 박스 이미지 연합감리교뉴스의 주간 e-뉴스레터인 <두루알리미>를 받아보시려면, 지금 신청하세요.

호퍼트-존슨 감독은 아틀란타한인교회의 성장을 위해 희생하고 노력한 목회자들의 업적에 경의를 표하며, 과거의 관행을 바로 잡고, 새롭게 출발하는 것이 오히려 교회에 어려움을 주는 것 같아 부담과 슬픔을 느낀다고 자신의 심정을 토로했다.

감독과 함께한 질의응답 시간에 일부 교인들은 이미 4개월에 걸친 감사를 마쳤는데도 그 내용에 대해서는 함구하며, 또다시 조사위원회에 넘겨 3-4개월의 시간이 소요된다고 하는 것은 무책임한 일이라고 반발하고, 김세환 목사가 다시 교회에 돌아올 수 있는지 여부를 밝혀달라고 요구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호퍼트-존슨 감독은 이 사건이 이미 법적 절차에 들어갔으며, 해당 목회자들에게 자신을 소명할 기회가 있고, 아직 그들의 해명을 듣지 않은 상황과 고발된 내용의 사실 여부가 밝혀지지 않았기 때문에, 목회자를 보호하기 위해 무슨 위법 사항이 있는지를 밝히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또한 김 목사가 다시 돌아올 수 있는지도 법적 절차가 끝나야만 알 수 있다고 답했다.

호퍼트-존슨 감독은 교인들에게 “과정이 완벽하지 못함에 용서를 구한다. 절차가 공정하게 이루어지도록, 목사들을 위해서, 교회를 위해서 기도해 달라.”라고 요청한 후, 자신의 기도로 교인총회를 마쳤다.

 

관련 기사 보기:

북조지아 감독 아틀란타한인교회 교인총회를 소집하다

 

연합감리교뉴스에 연락 또는 문의를 원하시면 김응선 목사에게 [email protected]이메일을 보내거나 615-742-5109연락하시기 바랍니다. 연합감리교뉴스를 읽기 원하시면, 주간 e-뉴스레터인 두루알리미를 신청하세요.

사회적 관심
2023년 8월 28일부터 이틀간 열린 제4차 KMC-UMC-WMC 한반도 평화를 위한 라운트테이블에 참석한 사람들의 모습. 사진, 김응선 목사, 연합감리교뉴스.

예수님의 눈물: 한인 디아스포라의 메시아적 희망과 해방 3

정희수 감독은 예수의 눈물이 한인 디아스포라에게 친숙한 신학적 담론을 형성하여, 고통과 분열 속에서도 신앙을 통해 새로운 자아와 정체성을 찾으며, 트라우마와 눈물 속에서 하나님의 나라를 위한 희망과 화합의 세계를 꿈꾸며 살아왔다고 말한다. 이 글은 정 감독의 글 3편 중 3편이다.
사회적 관심
연합감리교회 사회부는 연합감리교인들에게 자신들의 지역구 의원들에게 한반도평화법안(H.R. 1841) 발의자로 참여할 것을 요청하라고 촉구했다. 사진은 한국전쟁 정전협정 70주년인 2023년 7월 27일, 수백 명의 한반도 평화 운동가들이 백악관 앞 라파예트 광장을 출발해 링컨기념관까지 평화통일 기원 행진을 하는 모습이다. 사진, 김응선 목사, 연합감리교뉴스.

연합감리교회 사회부 한반도평화법안(H.R.1841) 지지 요청

연합감리교회 사회부는 교인들에게 자신이 속한 지역구의 연방 하원의원에게 한반도평화법안(H.R.1841)의 공동 발의에 참여해 줄 것을 요청하라고 촉구했다.
사회적 관심
스웨덴 예테보리에서 열린 세계감리교대회 중 8월 15일에 열린 <한반도 평화의 밤> 행사에서, 각국에서 온 세계감리교 청년들이 함께 노래를 부르고 있다. 사진, 김응선 목사, 연합감리교뉴스.

올해도 아쉬운 반쪽짜리 부활절 남북공동기도문이 발표되다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화해와통일위원회는 ‘2025년 부활절 남북공동기도문’을 발표하고, 전 세계 기독교인들에게 한반도 평화를 위헤 기도해달라고 요청했다.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5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