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쁜 남자를 가리켜 ‘꽃미남’이라 한다. '왕의 남자’라는 영화가 한국 영화사상 최고의 흥행을 기록하는 대박을 터트렸던 일이 있다. 이런 인기몰이를 한 데는 그 영화에 출연한 배우 중 ‘꽃미남’이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여자보다 더 예쁜 그 ‘꽃미남’ 배우의 미모(?)에 뭇 여성들이 푹 빠졌던 것이다. 과거에는 미남은 아니라도 사나이다운 데가 있으면 매력이 있었다. 남자들 특유의 미, 곧 ‘남성미’만으로도 충분했고 여자처럼 예쁜 남자는 도리어 외면을 당했다. 하지만 요즘 세태는 그렇지 않다.
한 설문 조사에 의하면 젊은 층 10명 중에 8명 이상이 자신의 외모에 불만을 갖고 있다고 한다. 성공의 조건을 묻는 질문에 대해서도 외모가 능력과 수위(首位)를 다투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세태를 반영하듯 남성들 사이에서도 취업이나 결혼을 위한 성형 수술이 각광을 받고 있다. 예쁜 남자가 되려고 서슴없이 수술대 위에 오르는 것이다. 하지만 아무리 생각해도 남자라는 단어 앞에 ‘예쁜’이라는 수식어는 어울리지 않는다. 물론 ‘이미지 메이킹’(image making) 차원에서 자신의 외모를 좀 더 준수하게 꾸며, 보는 사람들에게 좋은 인상을 남기려는 것까지 말릴 수는 없겠지만 멀쩡하게 생긴 남자들이 취업이나 결혼을 위해서 자신의 얼굴에 칼을 대게 하는 것은 아무래도 외모 지상주의의 부산물인 것 같아 마음이 여간 씁쓰름한 것이 아니다.
사람은 외모를 중시하니 이런 일이 생기는 것은 당연한지도 모른다. 하지만 형형색색으로 정교하게 만들어 낸 ‘조화’(彫花)가 아무리 아름답다 한들 어찌 ‘생화’(生花)가 풍겨 내는 ‘생동미’나 그 ‘은근미’와 견줄 수 있겠는가? 성형의 미는 멀리서는 몰라도 코앞에서 들여다보면 어딘가 모르게 부자연스럽고 어색하다. 문제는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신체의 일부를 훼손시켜 억지로 미를 만들어 내다가 생긴 모습 그대로 풍겨 나는 ‘자연미’는 물론이고 마음과 인격을 가꾸려는 ‘교양미’ 내지는 ‘인간미’마저 상실해 버리지는 않을까 하는 점이다. 남녀노소 불문하고 성형의 미에 집착하는 것은 심각한 사회적 병리 현상이라 해도 틀린 말은 아닐 것이다.
외모를 중시하는 사람과는 달리 하나님은 외모가 아닌 중심(中心)을 보신다. 그러므로 옷 차림새나 얼굴 생김새, 그리고 피부색으로 사람을 판단하여 차별하는 것은 하나님께 심판 받을 일이다. 또한 자신의 선천적인 미모(특히 머리털)를 자랑하다가 도리어 그것이 걸림돌이 되어 죽음의 덫에 걸린(참고. 사무엘하 18:9) ‘꽃미남’의 원조 격인 다윗 왕의 아들 압살롬을 생각하면(사무엘하 14:25, “온 이스라엘 가운데 압살롬같이 아름다움으로 크게 칭찬받는 자가 없었으니 저는 발바닥부터 정수리까지 흠이 없음이라”) 예쁜 남자가 되려는 욕망은 부질없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