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명임 목사, 총회세계선교부 아시아지역 선교 담당 총무로 취임

아시아인목회강화협의회(Asian American Language Ministry, AALM)와 태평양인목회강화협의회(Pacific Islanders Ministry Plan, PIM)의 사무총장으로 섬기던 김명임 목사가 4월 7일부로 은퇴한 김종성 목사의 뒤를 이어 총회세계선교부 아시아지역 선교담당 총무로 취임하였다. 김 목사는 두 목회강화협의회의 제반 사역을 수행하며 총회세계선교부가 아시아 지역에서 펼치고 있는 선교와 사역을 지원하는 일을 감당해 왔다. 김 목사는 이제 선교사들과 함께 새로운 교회 전도, 공동체 재건 및 선교 개발의 목적 확대 등을 위한 사역을 감당할 것이다. 김 목사는 또한 미국과 아시아의 파트너 교회 및 연회, 기관 사이의 연락, 자원 개발, 선교사 관리 및 감독, 관계 조정 등의 업무를 책임지고 있으며, 또한 의료, 교육, 전도, 행정 훈련 등을 포함해 그들의 필요와 현지의 자산에 대한 파악 및 관리 등의 사역을 감당할 것이다.

대뉴저지연회의 정회원 목사인 김명임 목사는 총회세계선교부의 사역을 시작하기 전 센테너리대학에서 교목으로 사역을 했고, 그 후에는 뉴저지의 뉴튼, 토도와, 페닝톤 연합감리교회를 섬겼으며, 워싱턴 D.C.에 있는 총회인종관계위원회에서 연회관계담당 디렉터로 섬겼다. 김 목사는 이 외에도 연합감리교회 개발기금 이사회 실행위원(2004-2008), 전국 한인여교역자회 회장(2009-2011), 한인목회강화협의회 실행위원(2009-2011) 등 교단의 여러 그룹에서 리더십을 발휘해 왔다. 김 목사는 한국의 감리교신학대학교에서 학사 학위, 뉴저지 메디슨에 있는 드류신학교에서 목회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김 목사는 현재 워싱턴 D.C.에 있는 웨슬리신학대학원에서 목회학 박사과정을 밟고 있다.

사회적 관심
킹 목사를 기리며 흑인 역사와 경험을 배우고, 한인 커뮤니티가 어떻게 연대할 수 있을지 모색하는 웨비나가 열렸다. 제공, 김영동 목사.

마틴 루터 킹 목사 출생일에 흑인 역사를 배우는 시간을 갖다

마틴 루터 킹 목사의 탄생일인 1월15일, 한목협 인종정의실행위원회는 웨비나를 열고 흑인 역사를 배우며, 그들과 연대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했다.
개체교회
2024년 8월, 시카고 근교인 알링톤하이츠에 소재한 인카네이션 연합감리교회에서 열린 2024 CRCC마당 수양회에서 박신애(Grace Pak) 목사가 ‘타인종 목회 신학’라는 주제로 강의하고 있다. 사진 제공, 김희원 목사, 타인종목회자전국연합회.

타인종 목회 역량 강화 프로그램인 마당 2025 수강생 모집

타인종목회자전국연합회는 타인종 목회자들의 목회 역량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인 CRCC마당의 2025년(8회) 수강생을 모집한다. 등록 마감일은 3월 31일이다.
개체교회
덴마크 화가 Carl Bloch가 1877년에 그린 산상수훈 (Sermon on the Mount). 출처,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우리가 전해야 할 설교는? 그리고 마리안 에드거 버드 감독의 설교

현혜원 목사는 “이스라엘만 사랑하고 이방인은 사랑하지 않는 하나님이 우리가 믿는 하나님인 걸까요? 아니면 이방인들, 잊힌 자들, 멸시받는 자들을 택하고 부르시는 분이 우리의 하나님인가요?”라고 묻고, 합당한 삶으로 설교하라고 초대한다.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5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