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15일 광복절주일을 위한 한반도 평화통일 공동기도주일 기도문이 발표되다

세계교회협의회(World Council of Churches, 이하 WCC)는 광복절 76주년인 오는 8월 15일 광복절주일을 <한반도 평화통일 공동기도주일>로 지켜달라고 요청하고,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 화해통일위원회가 한글영문으로 작성한 <한반도 평화통일 공동기도주일 기도문>을 전 세계에 배포하며, 전 세계 교회들이 이 기도문을 자국의 언어로 번역해, 이번 주일 예배에 사용할 것을 권고했다. 

WCC는 한/조선반도의 평화와 화해를 위한 공동기도를 통해, 남과 북의 영혼과 마음이 이어지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광복절인 8월 15일은 우리 민족이 일제 식민통치에서 해방된 것을 기념하는 뜻깊은 날로, 남한은 광복절로, 북한은 해방절로 이날을 기리고 있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이날은 한민족이 독립을 이룬 날임과 동시에 남에는 미군정이, 북에는 소련군정이 수립되며, 남과 북이 두 나라로 분열된 날이기도 하다.

한국 국적의 사람들의 입장은 엄격하게 제한적으로만 허용되는 휴전선 안에서 외국 관광객들이  전망대에 설치된 망원경을 통해 휴전선 너머의 북녘땅을 바라보고 있다. 사진, 김응선 목사, 연합감리교뉴스. 한국 국적의 사람들의 입장은 엄격하게 제한적으로만 허용되는 휴전선 안에서 외국 관광객들이  전망대에 설치된 망원경을 통해 휴전선 너머의 북녘땅을 바라보고 있다. 사진, 김응선 목사, 연합감리교뉴스.  
두루알리미 광고 박스 이미지 연합감리교뉴스의 주간 e-뉴스레터인 <두루알리미>를 받아보시려면, 지금 신청하세요.

2013년 세계교회협의회 부산 총회에서 결의한 후, 매년 8월 15일 또는 광복절을 앞둔 주일 예배에 전 세계 기독교인들은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와 조선그리스도교련맹(KCF)이 작성한 기도문을 사용해 한반도 평화 통일을 위한 기도에 동참해왔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한반도 평화통일 남북공동기도문’의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아,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가 조선그리스도교련맹(KCF)에 제안한 남측 초안을 배포하여 사용한다.

2021년 8월 15일 광복절 주일 <한반도 평화통일 공동기도주일> 포스터. 사진 제공, 한국기독교회협의회. 2021년 8월 15일 광복절 주일 <한반도 평화통일 공동기도주일> 포스터. 사진 제공, 한국기독교회협의회. 

 “주님, 우리는 이 땅을 사랑합니다. 북과 남/남과 북의 민이 자신들의 고유한 역사를 일구어 온 터전, 울고 웃든 삶의 모든 역사가 아로새겨진 대지, 이 땅 한반도를 사랑합니다.”라고 유구한 역사가 담긴 한반도에 대한 사랑을 고백하며 시작한 기도문은  분단의 상처로 신음하는 현실이 치유되기를 바라는 소망을 담고 있다.

“이 땅 한반도가 신음하고 있습니다. 채 아물지 않은 분단의 상처 때문입니다. 둘로 나눠진 민족은 서로를 미워하며 수십 년을 허비해 왔습니다… 우리의 울부짖음을 들어주소서. 분단의 상처가 회복되기를 간절히 원합니다. 서로를 미워하고 비난하기를 멈추고 평화와 공존의 씨앗을 심게 하소서.”

공동기도문은 또한 교회가 자신의 유익을 구하기보다 화해와 평화의 소명을 감당하고, 북과 남/남과 북이 하나 되기 위해 그리스도인이 해야 할 바를 가르치고 이끌어, 주님의 능력으로 평화의 세상이 펼쳐질 수 있기를 기도했다.

이어 교착 상태에 빠진 남북 관계를 복원하고, 한반도 통일의 불씨를 살리기 위해, “주님 안에서 (남과 북의) 영과 마음이 연결되어 있음을 기억하고, 이 땅의 평화를 위한 고난의 먼 길을 함께 걸어가게 하소서.”라고 염원했다.

2018년 판문점 남북정상회담에서 남과 북의 정상이 함께 걸었던 도보다리의 모습. 남측 군인이 다리를 지키고 있다. 사진, 김응선 목사, 연합감리교뉴스. 2018판문점 남북정상회담에서 남과 북의 정상이 함께 걸었던 도보다리의 모습. 남측 군인이 다리를 지키고 있다. 사진, 김응선 목사, 연합감리교뉴스.

한편,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는 “2018년 남북 정상은 ‘판문점선언’과 ‘평양선언’을 발표하며, 평화와 번영 그리고 통일의 새 길을 제시했으나, 한반도는 여전히 분단의 틀 안에 갇혀 있습니다.  우리는 이 두 선언의 정신을 온전히 구현하기 위해 ‘민의 한반도 평화협정’을 선언하고, 한국전쟁 종식과 평화협정 체결을 촉구하는 한반도 종전 평화 캠페인인 한반도 평화선언(Korea Peace Appeal)에 전 세계 교회와 시민사회단체들의 참여를 촉구합니다. 이웃, 친지, 주변의 공동체와 함께 이 서명운동에 동참해 주십시오. 평화가 우리 곁에 다가오고 있습니다.”라고 호소했다.

 

관련 자료:

2021년 한/조선반도 평화통일 남북, 북남 공동기도주일 기도문(한글)

2021년 한/조선반도 평화통일 남북, 북남 공동기도주일 기도문(영문) 

연합감리교뉴스에 연락 또는 문의를 원하시면 김응선 목사에게 [email protected]로 이메일 또는 전화 615-742-5109로 연락하시기 바랍니다. 연합감리교뉴스를 더 읽기 원하시면, 주간 전자신문 두루알리미를 신청하세요.   

사회적 관심
킹 목사를 기리며 흑인 역사와 경험을 배우고, 한인 커뮤니티가 어떻게 연대할 수 있을지 모색하는 웨비나가 열렸다. 제공, 김영동 목사.

마틴 루터 킹 목사 출생일에 흑인 역사를 배우는 시간을 갖다

마틴 루터 킹 목사의 탄생일인 1월15일, 한목협 인종정의실행위원회는 웨비나를 열고 흑인 역사를 배우며, 그들과 연대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했다.
개체교회
2024년 8월, 시카고 근교인 알링톤하이츠에 소재한 인카네이션 연합감리교회에서 열린 2024 CRCC마당 수양회에서 박신애(Grace Pak) 목사가 ‘타인종 목회 신학’라는 주제로 강의하고 있다. 사진 제공, 김희원 목사, 타인종목회자전국연합회.

타인종 목회 역량 강화 프로그램인 마당 2025 수강생 모집

타인종목회자전국연합회는 타인종 목회자들의 목회 역량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인 CRCC마당의 2025년(8회) 수강생을 모집한다. 등록 마감일은 3월 31일이다.
교단
한인 및 히스패닉 교회 지도자들은 연합감리교회 출판부가 재정 압박으로 장정의 번역과 출판을 중단하기로 한 결정하자, 한인 공동체 스스로 장정 출간을 검토하고 있다. 사진은 2024년 판 연합감리교회 장정. 사진, 마이크 두보스, 연합감리교뉴스.

한인 공동체 2020/2024 장정 독자 출판 적극 검토하기로

연합감리교 출판부가 한국어 및 스페인어 장정 출판을 중단하기로 한 결정에 장학순 목사는 출판부의 이번 발표가 일방적이었다는 점에 우려를 표하며, “우리 연합감리교회 한인공동체는 지혜를 모아 2024 장정을 반드시 출간할 것입니다. 한인 공동체가 합력하여 선을 이룰 수 있도록, 힘닿는 데까지 최선을 다해 해결책을 마련하겠습니다.”라고 말했다.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5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