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편집자 주: 연합감리교뉴스는 교단이 직면한 여러 문제에 대한 다양한 독자들의 의견을 싣고 있다. 이 글은 연합감리교뉴스의 입장과 다를 수 있음을 밝힌다.
요즘 같은 시기에 연합감리교인으로 산다는 것은 혼란스러운 일이다. 전 세계적인 유행병이 세상의 우선순위를 뒤바꾸어 놓기 이전에도 우리 교회는 혼란스러웠고, 이 유행병이 지나가고 나서도 이 혼란은 계속될 것이다.
중국에서 정체불명의 질병이 처음으로 보고된 것은 지난 1월 초였다.
그리고 같은 달 1월 연합감리교뉴스를 비롯한 CNN, NPR, 워싱턴포스트 그리고 뉴욕타임스를 포함한 주요 세속 언론매체들은 연합감리교회가 교단의 분리를 위한 합의에 도달했다고 보도했다. 그 뉴스들은 합의된 “의정서”에 따라 연합감리교회를 적어도 두 개의 교단으로 분리할 것이며, 수십 년간 연합감리교회를 괴롭히던 동성애에 관한 논쟁을 종식시킬 것이라 보도했다.
그 속보는 확정된 것처럼 보였다. 하지만 지금까지 그런 분리는 일어나지 않았고, 그러한 일이 조만간 일어날 것인지도 확실하지 않다.
1월 3일 의정서가 발표된 이후, 대부분의 연합감리교인들이 목격한 유일한 변화는 서로 포옹하며 나누던 평화의 인사를 중지하고, 성찬식에 관하여 논의를 하며, 온라인을 통해 화상회의와 화상예배를 드리고 대면예배를 전면 중단한 것이다. 이 변화들은 코로나19 의 결과일 뿐, 교단의 운명에 관한 결정들 때문이 아니었다.
더군다나 이 의정서라는 것은 사실 2021년 8월 29일부터 9월 7일까지 열리기로 일정이 재조정된 전 세계적인 교단의 입법기관인 총회에 제출된 교단 분리에 관한 여러 안건 중의 하나일 뿐이다.
장정 507조의 현행 교단 헌법에 어떤 개인이나 단체가 추가로 청원안을 제출할 수 있다고 명시되어 있지만 지금은 총회위원회가 재조정된 일정을 고려해 추가 입법안을 제출할 수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는지조차 불분명하다.
총회 대의원들이 교단 분리에 관한 여러 안건 중 일부를 통과시킬 것이라는 전망이 있기는 하다. 그러나 각 안건에는 총회가 자체적으로 결정권을 행사할 수 없는 요소들을 포함되어 있다.
수백만 명의 연합감리교인들이 예배에 참석하고, 성경공부를 하며, 지역사회를 위한 봉사를 하고, 매일 교회를 위해 기도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교인은 교단의 운영과 결정 과정에 대해 알지 못하고, 오직 일부 교인들만이 교단 헌법에 따라 다수의 연회와 위원회에 결정권과 책임이 분산되어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
우리는 총회가 교회 분리를 위한 안건을 재정해주기를 바랄지도 모른다. 그러나 총회는 단지 교단 헌법에서 주어진 어떤 형태의 권위만을 가질 뿐이며, 교단 헌법이 부여한 권한 이상의 행동을 할 수는 없다.
지난 3월 11일, 총감독회는 의정서 입법안의 합헌성 여부를 위한 심사를 사법위원회에 요청했다.
감독들은 33쪽에 달하는 의정서 초안에 담긴 내용 가운데 총회가 정할 수 있는 권한을 벗어난 내용은 없는지 사법위원회가 선언해주기를 부탁했다. 물론, 봄에 예정되어 있던 사법위원회 모임은 코로나19 때문에 취소되었다. 따라서 사법위원회가 감독들의 요구를 언제 심사하게 될지도 불확실하다.
1968년 복음주의연합형제교단과 감리교단의 합병을 위한 초안을 만들 때, 연합감리교회 창시자들은 교회의 모든 행정이 각 지체를 연결하는 교단 헌법을 통해 상호 연결되도록 했다.
1808년부터 시작된 이 교단 헌법의 접근 방식은 교단의 권위를 상호연결된 방식으로 여러 지체에 분산해서 부여하고 있다. 개체교회가 되었든 전 세계 총회 모임이 되었든, 연합감리교회는 다양한 지체들의 연결체로서 교단 헌법이 부여한 각자의 권한를 가지고 있다.
이 제도는 목회자와 교회의 느슨한 연합이 아니다. 그렇다고 가톨릭처럼 최고 책임자나 중앙 위원회가 정점에서 통제하는 피라미드형 제도도 아니다.
교단의 각기 다른 기관들이 교단 행정의 특정 부분에 대해서 최종 결정 권한을 가진 구조다.
감독은 목회자를 어디로 파송할지를 결정하지만, 감독은 누가 파송 받을 자격이 있는 목회자로 안수를 받을 수 있는가를 결정할 투표권이 없다. 그 결정은 각 연회의 안수위원회가 한다. 총회는 목회자의 교회 재판을 위한 절차를 정할 수는 있지만, 목회자의 재판이나 상소를 할 수 있는 권리를 박탈할 수는 없다.
예를 들면, 의정서 입법안은 미국 밖의 모든 연회 및 그 지역 내의 모든 개체교회와 미국 연합감리교회의 (교단 분리를 통해) 연결을 없애고, 그 교회들과 연회들을 각 해외지역총회 또는 미국지역총회에 포함시키는 결정을 총회에서 의결하자고 제안한다.

만약 사법위원회가 감독들이 요청한 대로 심사한다면, 사법위원회는 총회 대의원의 과반수 의결이나 해외지역총회 대의원 3분의 2 이상의 찬성으로 모든 연회와 개체 교회가 교단을 탈퇴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것이 교단 헌법에 합치하는지 결정해야 할 것이다.
이미 제출되었던 교단 분리에 관한 법안 가운데 일부 법안 제출자들은 자신들의 입법안이 교단 헌법에 전혀 근거가 없다는 것을 인정하고, 교단 헌법 수정안까지 자신들의 입법안에 포함시켰다.
예를 들면, 연대사역협의회는 미국 내에 있는 개체 교회와 연회 그리고 지역총회에만 적용할 수 있는 법을 제정하고, 교회 정책을 결정할 권위를 가진 미국 내의 미국지역총회를 위한 또 다른 행정 구조를 만들고 싶어 한다. 그와 같은 지역 총회를 만들고 그런 특정한 권한을 주기 위해서는 교단 헌법의 개정이 요구된다.
유엠씨넥스트는 새로운 교단 헌법 작성을 제안했다. 2023년 특별 총회를 위한 헌법 초안을 제시하는 <21세기교회위원회> 신설을 제의했고, 만약 그 안이 통과되면, 그 법안은 각 연회의 새로운 헌법 인준을 위한 최종 투표를 거쳐야 할 것이다.
유엠포워드(UMFORWARD)는 연합감리교단의 폐지를 제안했다. 교단을 해체하고 성소수자를 완전하게 받아들이는 것에 대한 서로 다른 입장의 4개의 새로운 교단을 만들자는 것이다. 그러나 총회는 교단의 폐지나 해체를 결정할 헌법적인 권한이 없다.
인디애나폴리스 플랜은 교단의 해체를 주장하지 않지만, 세 개의 독립 교단으로 나눌 것을 제안한다. 그 3개의 교단 중 하나가 연합감리교회의 맥을 이을 것으로 예상하고, 나머지 두 개의 교단은 성소수자를 완전히 수용하는 것에 대한 그들의 입장을 규정짓고 있다. 그러나 의정서와 마찬가지로, 이 안 역시 총회가 다수결 의결을 통해 해외지역총회의 일부 대의원들에게 각 연회와 개체 교회가 가지고 있는 연합감리교회와의 연결을 제거할 수 있는 권한을 주는 헌법적 권리가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인디애나폴리스 플랜과 의정서를 포함한 그 이외의 여러 제안은 연회가 연합감리교회를 떠날 수 있도록 투표할 권한이 있다고 주장한다. 사실 이 의정서에는 연회가 교단 헌법에 의해 그렇게 할 권한이 있다고 선언한 사법위원회의 결정을 언급하고 있다.
하지만 여기에는 두 가지 중요하고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하나는 의정서가 언급하는 사법위원회의 결정의 내용이다.
의정서가 밝히고 있진 않지만 아마도 그것은 결정 1366호임이 분명하다. 거기서 사법위원회는 2019년 특별총회 전에 제안되었던 특별 안건의 구체적인 부분을 다루고 있다. 청원안 90041이 그것인데, 사법위원회는 2019년 총회 전에 그 청원안을 부분적으로 합헌이라고 판정했지만, 실제 입법 과정에서는 부결되었다. 그래서 교회법에 포함된 적이 없으며, 그런 법이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것을 근거로 합헌이라고 할 수는 없다.
또 하나는 연합감리교회를 떠나기로 결정하기 위한 연회의 투표와 관련된 의정서의 부분이다.
일단 연회의 표결로 목회자가 된 사람은 재판과 상소의 권한이 있다.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교단 헌법은 총회가 “우리의 목회자들이 위원회에 의해 재판을 받을 권리와 상소할 권리를 박탈할 수 없다.”라고 명시하고 있다.
그러니까 총회는 연합감리교회에서 어떤 목회자로부터도 그들의 회원권을 박탈하도록 승인할 수 있는 헌법적인 권한이 없다. 연회가 투표를 통해 교단을 탈퇴할 수 있다고 하는 그러한 입법행위는 개별 목회자가 재판을 받고 상소를 할 헌법적인 권리를 박탈하게 할 것이며, 헌법은 총회가 “그렇게 할 수 없다.”라고 말하고 있다. 총회가 그런 권한을 가질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헌법을 개정하고 각 목회자에게서 재판권과 상소권을 박탈하는 길뿐이다.
이런 문제들은 물론 아주 혼란스러운 문제들이다.
세계 공중보건의 치명적인 상황은 우리에게 이런 기존의 제안을 재고하도록 허락해준 현 시점에 분리 안이나 분열 안으로 인해 또 다른 위기를 조장하거나 더 큰 혼란을 야기해서는 안 될 것이다.
로렌스는 연합감리교회 정회원이며, 남감리교대학교의 퍼킨스신학교의 전 학장이자 사법위원회의 전 의장이었다.
연합감리교뉴스에 연락 또는 문의를 원하시면 김응선 목사에게 [email protected]로 하시기 바랍니다. 연합감리교뉴스를 더 읽기 원하시면, 격주 e-뉴스레터인 두루알리미를 신청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