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감리교회 사회원칙의 유래

연합감리교회 사회원칙의 전신이 되는 감리교 사회신경은 미국의 산업화와 경제 성장이 급속도로 일어나던 시기에, 공장, 광산, 제분소, 도시 빈민가의 공동주택에서 거주하며 산업도시에서 일하는 수백만 명 노동자의 노동 착취에 대한 우려를 표하기 위해 지금으로부터 약 1세기 전에 시작되었습니다. 1908년에 기록된 사회신경은 교회가 사회에 대한 우려를 표하기 위해 작성한 최초의 문서입니다.

다섯 명의 미(북)감리교회 목회자들은 교단 내 사회를 위한 사역을 담당할 기관이 필요하다고 믿었습니다. 이러한 움직임을 시작한 사람들은 선교와 전도 담당자 프랭크 메이슨 노스, 오하이오 웨슬리안 대학의 총장이었던 허버트 웰치(웰치는 후에 감독이 되었고, UMCOR의 전신인 감리교 구호 기관을 창설합니다), 출판국 편집인 앨버트 뢉 자링, 사회사업 담당자 월스 티피와 시카고 지역 목사 해리 워드입니다.

두루알리미 광고 박스 이미지 연합감리교뉴스에서 제공하는 주간 e-뉴스레터인 <두루알리미>를 받아보시려면, 지금 신청하세요.

워드 목사가 축산농업 지역에서 목회하고 있을 때, 공장에서 사고사를 당하는 포장공장 노동자의 장례를 집례해야 할 경우가 잦았습니다. 그는 노동자들이 고용환경을 향상하기 위해, 노동조합을 조직하는 일을 적극적으로 지지했습니다. 워드 목사는 공장 노동자들을 염두에 두고 사회신경의 초안을 작성했습니다.  

교회가 이루어야 하는 11가지 사회 개혁 조항에는, 어린이 노동 착취와 착취 현장을 존속시키는 구조를 폐지하고, 노동자의 권익 보장과 최저 생계를 위한 임금 및 보다 안전한 작업환경을 보장하는 일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미감리교회 총회는 1908년 이러한 사회적 문제를 다루는 성명을 채택했습니다.

후에 감리교 계통의 다른 교단들도 이와 비슷한 문서를 발표했습니다. 1968년 복음주의연합형제교회와 감리교회가 합병할 때에는, 연합감리교회의 첫 장정에 두 교단의 사회적 선언들이 모두 포함된 바 있습니다. 이러한 선언들은 그 후에도 지속해서 사회적 책임에 관한 문서를 확장하고, 편집하는 데 기초가 되었습니다.

본래는 경제적인 면에 초점을 두었던 사회적 선언들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가정생활, 술, 마약중독, 범죄, 재활, 도박, 정신 건강, 시민의 자유 및 정의와 평화에 관한 부분을 포함하도록 확장되었습니다.

이러한 선언들은 1972년 총체적으로 새롭게 구성되었고, 이전 복음주의연합형제교회에서 사용하던 용어를 차용하여 사회원칙이라 부르게 되었습니다.

사회원칙은 주로 여섯 가지 관심 분야로 구분됩니다.

(1) 자연 세계

(2) 돌봄의 공동체

(3) 사회 공동체

(4) 경제 공동체

(5) 정치 공동체

(6) 세계 공동체

사회원칙의 마지막 부분에 게재된 사회신경은 2008년 총회에서 채택된 "사회신경 기도문(Companion Litany)"와 함께 예배 자료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사회원칙은 우리가 공동의 선을 모색하기 위해 공공 정책과 개인적인 헌신을 통해 추구하는 윤리적인 바람을 잘 담아냅니다. 사회원칙을 통하여 우리는 "온 마음과 정성과 뜻과 힘을 다하여 하나님을 사랑하고" "이 웃을 내 몸같이 사랑"하기 위한 삶을 추구하게 됩니다. (마태 22:37-40, 마가 12:30-31)

사회원칙은 우리가 세상을 변화시킬 뿐만 아니라, 세상에서 남들과 다르게 살아가기를 촉구하고, 더 나아가 지금 우리가 누리고 있는 세상보다 더 좋은 세상을 만들어 가기를 요구합니다.

전 세계적인 교단이 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의 일환으로, 사회원칙은 보다 간단명료하며, 신학적 기반이 단단하고, 전 세계적으로도 의미 있는 원칙이 되기 위해, 2013년부터 세계 각처로부터 의견을 모아 수정 작업 중에 있습니다. 50년 만에 처음 있는 사회원칙의 전면적 수정안은 2020년 총회에서 소개될 예정입니다

원문보기

이 기사는 연합감리교 공보부의 사역인 Ask the UMC에서 작성한 글입니다. 연합감리교회뉴스에 연락 또는 문의를 원하시면 김응선 목사에게 이메일 [email protected] 또는 전화 615-742-5109로 연락하시기를 바랍니다. 연합감리교뉴스를 받아보기를 원하시면, 무료 주간 전자신문 두루알리미를 신청해 주세요.

사회적 관심
2023년 8월 28일부터 이틀간 열린 제4차 KMC-UMC-WMC 한반도 평화를 위한 라운트테이블에 참석한 사람들의 모습. 사진, 김응선 목사, 연합감리교뉴스.

예수님의 눈물: 한인 디아스포라의 메시아적 희망과 해방 3

정희수 감독은 예수의 눈물이 한인 디아스포라에게 친숙한 신학적 담론을 형성하여, 고통과 분열 속에서도 신앙을 통해 새로운 자아와 정체성을 찾으며, 트라우마와 눈물 속에서 하나님의 나라를 위한 희망과 화합의 세계를 꿈꾸며 살아왔다고 말한다. 이 글은 정 감독의 글 3편 중 3편이다.
신학
클라우디아 텔리 운게산이 코트디부아르의 맨에 소재한 템플 엠마누엘 연합감리교회 예배에서 찬양을 부르고 있다. 사진, 마이크 두보스, 연합감리교뉴스.

부활절은 언제까지이고, 그다음은 무슨 절기인가요?

부활절 절기는 부활절 주일 전날인 토요일 일몰에 시작하여, 성령의 오심과 교회의 탄생을 축하하는 오순절이 시작하는 50일 간으로, 그리스도인들이 신앙 안에서 성장하도록 돕는 시기입니다.
사회적 관심
재외동포분포현황, 사진 출처, 기독일보.

예수님의 눈물: 한인 디아스포라의 메시아적 희망과 해방 2

한인 디아스포라는 단순한 이민자가 아니라, 역사적 고통과 신앙, 민족 정체성, 그리고 탈식민지화에 대한 열망 속에서 살아온 사람들로, 그들의 삶에는 해외에서의 정체성과 공동체 형성, 조국에 대한 사랑과 이념의 상처가 복합적으로 담겨 있다. 이 글은 정 감독의 글 3편 중 2편이다.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5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